![](https://cdn.jjan.kr/data2/content/image/2025/02/07/.cache/512/20250207580088.jpg)
투가리였습니다. 애당초 안성맞춤 방짜 유기는 관심 없었습니다. 탕도 찌개도 전골도 아니지만 복지개 덮어둔 밥사발처럼 오래 뜨거워야 했지요. 어두일미 빈말이란 건 세상 사람 다 알지요. 멍청한 돼지 머리나, 허구한 날 물 먹는 콩나물이나, 텃밭의 쓰레기 같은 시래기나, 몸통 말고 가운데 토막 말고 똥 들었던 내장 순대가 국이 되었지요. 밥이 되었지요. 숭덩숭덩, 지우개만 한 깍두기처럼 우선 푸짐해야 했지요. 어서 시장기 재워라, 아예 국에 밥을 말았습니다.
국밥집이 북새통입니다. 닷새마다 서던 먼 고향의 장날 같습니다. 모두 어디서 무얼 하다 왔을까요. 사람들이 목청을 돋우는 건, 국밥집이 도떼기시장 같은 건 한 잔 소주 탓이 아닙니다. 두 잔 막걸리 탓이 절대 아닙니다. 앗 뜨거워! 펄펄 끓는 가마솥 국물을 열댓 번 부었다가 게운, 입천장 데게 토렴한 국밥 때문이지요. 얼굴만 보아도 서로 안심하기 때문이지요. 세상의 찬밥들이 뜨거운 밥이 되는 기적 때문이지요. 한 술 넘치게 뜹니다. 꼴깍, 깍두기 한 점 얹습니다.
#국밥 #안성덕 #시인 #풍경 #투가리
기고 gigo@jjan.kr
다른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