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캄보디아 범죄조직에 납치됐던 한국 대학생이 구조작전 직전 잔혹한 고문을 당해 숨졌다는 증언이 나왔다.
12일 박찬대 더불어민주당 의원실에 따르면, 지난 8월 9일 캄폿주 보코산 인근 범죄단지에서 구출된 A씨는 최근 사망한 대학생 B씨(22)와 같은 조직의 감금시설에 있었다.
A씨는 박 의원실에 "B씨가 너무 많이 맞아 치료를 했는데도 걷지 못하고 숨을 못 쉬는 정도였다"며 "보코산 근처 병원으로 가는 길에 차 안에서 사망했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B씨가 다른 곳에서 강제로 마약 운반에 동원됐다가 자신이 감금된 조직에 팔려 왔던 상태였다"며 "이미 앞선 조직에서 심한 폭행을 당해 말을 잘할 수 없을 정도였다"고 덧붙였다.
B씨는 지난 7월 17일 "현지 박람회에 다녀오겠다"며 캄보디아로 출국한 뒤, 8월 8일 캄폿주 캄퐁베이 인근 차량 안에서 숨진 채 발견됐다. 현지 경찰은 사인을 ‘심장마비(고문으로 인한 극심한 통증)’로 규정했다.
한국 정부는 다음 날인 8월 9일 현지 당국과 함께 해당 범죄조직을 검거하고 감금 피해자 14명을 구출했다. B씨는 구조작전이 시작되기 하루 전 목숨을 잃은 셈이다.
B씨의 시신은 부검과 행정 절차 지연으로 두 달이 넘도록 국내로 옮겨지지 못한 상태다. 외교부는 현지 공안과 협의 중이며, 이달 중 운구가 완료될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박 의원은 최근 캄보디아에서 한국인을 겨냥한 납치·감금 피해가 급증함에 따라, 지난달 30일 ‘재외국민보호를 위한 영사조력법 일부개정안’을 국회에 제출했다.
개정안은 기존 ‘신고 안내’ 중심이던 재외공관의 기능을 ‘탐지·대응’으로 바꾸고, 주재국의 정세·안전 상황과 재외국민 사건·사고 동향을 수집해 분석하도록 하는 내용이다.
또 재외공관의 현재 인력과 예산이 피해 규모에 부응하지 못한다는 비판에 따라, 매년 인력·예산 현황을 평가해 외교부 장관에게 보고하고 그 결과를 인력과 예산 편성에 반영하도록 규정했다.
박 의원은 "법 개정을 통해 재외국민 보호를 위한 골든타임 확보에 총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