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 선물세트도 무서워요”… 송장 개인정보 노출 공포

2025-10-04

서울 영등포구에 사는 26세 1인 가구 여성 A씨는 추석 귀향을 앞두고 불안감을 느끼고 있다. 며칠 전 지인이 보낸 선물세트가 집을 비운 새 공동현관 앞에 장시간 방치될 수 있기 때문이다. 운송장에 이름과 주소, 연락처가 그대로 노출된 채 외부인 눈에 띄자 “혹시 집 비울 때 누군가 악용하지 않을까 두렵다”고 털어놨다

추석을 앞두고 선물세트 택배 물량이 급증하면서 개인정보 노출 불안이 1인 가구를 중심으로 확산하고 있다. 운송장에 적힌 이름·주소·연락처가 그대로 드러나면서 범죄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실제 2021년 노원 세 모녀 살인 사건의 가해자 역시 택배 송장을 통해 피해자의 주소를 파악한 것으로 알려져 사회적 충격을 준 바 있다.

4일 통계청 ‘2024년 인구주택총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1인 가구는 804만 가구로 전체 가구의 36.1%를 차지했다. 전년 대비 2.8% 늘어난 수치다. 특히 명절 기간 택배가 폭증하는 상황에서 혼자 거주하는 이들의 개인정보가 무방비로 노출될 경우 스토킹, 주거침입 등 범죄 표적이 될 위험성이 커진다.

현장에서는 경각심이 부족한 사례가 적지 않다. 서울 시내 한 빌라 경비원은 “재활용 분리수거함 주변에 운송장이 붙은 채 버려진 택배 상자가 자주 발견된다”며 “누구든 쉽게 개인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구조”라고 말했다. 택배 상자의 송장지는 생활공간과 맞닿은 곳에서 곧바로 드러나며, 범죄자들이 노릴 경우 방어가 어렵다는 지적이다.

택배업계도 대책을 내놓고 있다. 일부 업체는 개인정보를 비식별 처리하거나 송장 내 주요 정보를 모자이크 처리하는 기술을 도입했다. 그러나 회사별 기준이 제각각이라 이용자들이 체감하는 안전 수준에는 차이가 크다.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일관된 관리·감독 기준이 부재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제도적 보완의 필요성도 꾸준히 제기된다. 택배사 자율적 노력만으로는 한계가 명확한 만큼, 개인정보 보호 기준을 업계 전반으로 통일하고 관리·감독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동시에 소비자 스스로도 송장을 제거하거나 가리고 버리는 생활 습관을 갖는 것이 피해를 줄이는 방법으로 꼽힌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