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기관 사칭 스미싱 207만 건으로 절반 이상 차지
[서울=뉴스핌] 신수용 기자 = 정부가 범부처 차원에서 사이버 사기 피해를 예방하기 위한 예방·대응 수칙 안내에 나섰다. 추석 연휴를 앞두고 범칙금·과태료 조회 등 명목으로 공공기관을 사칭하거나 명절 선물 구매를 위한 쇼핑몰을 사칭해 금전을 갈취하는 사기가 빈번해지고 있기 때문이다.
◆ 계정 탈취형 스미싱 급증…정부, 보안 수칙 생활화 당부

5일 정부 등에 따르면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방송통신위원회, 경찰청, 한국인터넷진흥원 등 유관 기관은 전기통신금융사기 피해 예방·대응 수칙을 발표했다.
다양화·고도화되는 사이버 사기에 대한 국민 피해를 사전에 예방하기 위해 보안 수칙을 생활화해야 한다는 방침이다.
지난 2023년부터 올해 8월까지 관계 당국에서 탐지한 스미싱은 전체 388만여 건이다. 이 가운데 공공기관 사칭 유형이 207만여 건으로 절반이 넘는 53.4%를 차지했다.
특히 2023년 2402건에 불과했던 계정 탈취 유형 스미싱이 올해는 8월까지 60만 2319건으로 급증했다. 개인정보를 빼돌리는 것을 넘어 소셜미디어나 이커머스 계정 탈취 시도가 증가한 것이다.
관계 당국 통계에 따르면 최근 3년간 발생한 스미싱 사기 가운데 공공기관 사칭형은 207만여 건을 차지했다. 전체 문자 결제 사기의 과반(53.4%)에 해당한다.
특히 명절을 전후해 교통량이 증가하고 쓰레기 배출량이 늘어나는 만큼 정부·지자체를 사칭해 과태료, 범칙금 부과 스미싱 문자가 다량 유포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아울러 지난해부터 가짜 링크와 가짜 홈페이지를 활용한 소셜미디어와 이커머스 계정 탈취 유형이 증가하고 있어 계정 정보 입력에도 주의가 요구된다.
명절을 전후해서는 선물 전달을 위한 주소 요구 등을 빙자해 개인정보나 계정 정보를 탈취하거나, 금전이나 상품권 결제를 유도하는 사기 피해가 발생하기 쉽다.
◆ "링크 클릭·개인정보 입력 금지…피해 회복 어려워"

정부는 출처가 불명확한 인터넷 주소나 전화번호는 클릭하지 말고 문자 링크를 통해 앱을 내려받지 말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또 스마트폰 백신 프로그램 업데이트를 주기적으로 갱신하고 실시간 감시 상태를 유지하는 등 스마트폰 보안 설정을 강화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본인 인증이나 민생지원금 등의 명목으로 신분증 등 개인정보나 금융정보를 요구하는 경우 절대 입력하거나 알려줘서는 안 되며, 스마트폰에 저장된 주민등록증, 운전면허증, 여권 사진은 바로 삭제할 것을 권고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KISA)은 추석 연휴 기간 문자 사기 대응 24시간 탐지 체계를 운영하고 카카오톡 채널 친구 '보호나라'를 통한 문자 결제 사기 확인 서비스 등을 운영한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이동통신 3사, 한국정보통신진흥협회(KAIT)와 협력해 통신사 가입자들에게 주의 안내 문자를 차례로 발송한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금융회사 영업점, 금융 앱, SNS 채널 등을 통해 신용 대출·비대면 계좌 개설 등 안심 차단 서비스 이용 방법을 전파한다. 경찰청은 연휴 기간 발생하는 사이버 사기 신고 접수 시 신속하게 수사에 착수할 예정이다.
경찰 관계자는 "사이버 사기는 다 가짜로, 원금 보장이 되는 고수익은 드물고 '좋은 것이 있으면 가족이랑 함께 하려고 하지 굳이 가르쳐 주겠냐'는 심리적인 판단이 필요하다"며 "사이버 범죄는 범죄 총책을 잡기도 어려워 피해 회복이 어려워 예방이 우선시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이어 "피해 사례가 다수 발생할 경우 소비자 경보를 격상하는 등 신속히 대응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aaa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