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원·달러 환율 급등 배경으로 ‘서학개미(미국 주식에 투자하는 국내 투자자)’ 투자 수요를 꼽은 가운데 외환당국이 국내 증권사들의 환전 관행을 점검하고 개선안을 모색하기로 했다.
25일 금융투자 업계에 따르면 기획재정부·한국은행·금융감독원 등 외환당국은 이달 21일 외환시장협의회 소속 9개 증권사 외환 담당자들과 비공개 회의를 가졌다. 앞서 삼성전자·SK하이닉스 등 주요 수출기업과 국민연금을 만나 외환 수급 개선 방안을 논의한 데 이어 증권사까지 만난 것이다. 이는 최근 환율 상승 원인으로 국내 투자자들의 대미 투자 수요가 지목된 만큼 외환 시장 안정화에 총력전을 걸겠다는 의도로 풀이된다.
서학개미의 매수세는 매우 가파르다. 한국예탁결제원에 따르면 지난달 국내 투자자의 미국 주식 순매수 규모는 68억 달러에 달했고, 이달 21일까지도 45억 달러를 기록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내국인의 해외투자를 의미하는 대외금융자산은 3분기 말 2조 7976억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는데, 특히 거주자의 해외증권투자가 역대 최대 폭인 890억 달러 급증했다.
외환당국은 증권사들의 통합증거금 시스템과 관련된 환전 구조를 집중적으로 살펴본 것으로 파악됐다. 통합증거금 제도는 계좌 내 원화뿐만 아니라 달러, 엔화 등 보유 중인 모든 외화 자산과 결제 예정금까지 하나로 묶어 주문 가능 금액으로 인정해 주는 서비스다. 이 과정에서 내부 상계(Netting)를 통해 ‘최종 순액’만 외환시장에 반영한다. 증권사 입장에서는 환전 효율을 확대하고 일반 투자자 입장에서는 환전 효율이 확대된 덕분에 증권사가 채택한 낮은 매매 수수료의 이점을 누릴 수 있다.
문제는 이 최종 순액을 확정하는 기준 시점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현재 증권사들은 밤사이 거래를 정리한 뒤 달러 부족분을 이튿날 오전 9시 서울 외환시장 개장 초반에 사들이고 있다. 외환당국은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대규모 매수 주문이 수급 쏠림을 유발하고 환율 상승의 구조적 원인이 된다고 보고 있다.
외환당국은 회의에서 쏠림 현상을 완화하기 위한 대안으로 시장평균환율(MAR) 활용 혹은 실시간 환전 확대 등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개장 직후 등 특정 시간대가 아닌 하루 평균 가격으로 정산하거나, 주문 즉시 환전해 수요를 분산하라는 취지다. 다만 회의에 참석한 증권사 관계자들은 이종통화 적용 문제, 결제시차(T+1) 마찰, 단타 투자자의 비용 증가 가능성, 야간 환전 리스크 등 현실적 제약을 이유로 난색을 표한 것으로 파악됐다.
외환당국의 한 관계자는 이번 회의에 대해 “어떤 대안이나 개선안을 빠르게 낸다기 보다는 우선 현재 증권사 환전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것”이라며 “투자자 이익을 훼손하지 않는 방안을 모색할 것”이라고 말했다.

![6거래일 연속 상승한 환율…'당국-연금' 협의체 구원투수 될까 [김혜란의 FX]](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UXMC9S_3.jpg)
![한 달 만에 또 바뀐 금리 전망…“인하 사이클 종료” 경고 나왔다[AI 프리즘*글로벌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25/2H0LA6OKPL_1.jpg)

![[속보] 외환당국-국민연금 협의체 구성…"연금 수익성-외환안정 조화"](https://newsimg.sedaily.com/2025/11/24/2H0KUVSHTW_2.jpg)


![[2025 증권대상] 조선업종 ‘밸류에이션 새 패러다임’ 제시](https://newsimg.sedaily.com/2025/11/25/2H0LBQ6THH_1.jpeg)
![[AI의 종목 이야기] 미국 레버리지론 '한파', 거의 매주 자금 이탈](https://img.newspim.com/etc/portfolio/pc_portfolio.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