李대통령 공약 'AI 국민비서' 개발 시동 건다…행안부, 네이버·카카오와 업무협약

2025-10-27

'AI 국민비서' 연내 시범서비스 목표

사용자 지시에 따라 작업 수행까지 가능

[서울=뉴스핌] 나병주 인턴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공약으로 내걸었던 '인공지능(AI) 국민비서(가칭)' 개발이 시동을 걸었다.

행정안전부는 네이버, 카카오와 함께 국민이 공공서비스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AI 에이전트 기반 공공서비스 혁신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고 27일 밝혔다. 'AI 에이전트'는 단순 질의·응답을 넘어 사용자 지시에 따라 작업 수행까지 가능한 인공지능 기술이다.

행안부와 양사는 이번 협약을 통해 'AI 에이전트' 기술을 공공서비스에 선도적으로 적용하고 국민 편의성을 높이는 데 적극 협력하기로 했다.

주요 협력사항은 ▲민간 AI 에이전트와 공공서비스 연계를 위한 기술 방안 마련 ▲정책과제 발굴 및 제도적 기반 조성 ▲기관 간 협업 및 기술 지원 등을 통한 서비스 연계 및 확대 ▲서비스 이용 활성화를 위한 홍보 협력 등이 있다.

특히, 이번 협약은 이 대통령의 주요 공약 중 하나인 'AI 국민비서' 시범서비스를 연내에 구현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국민이 복잡한 절차 없이 대화만으로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AI 국민비서'는 AI 민주정부를 실현하기 위한 핵심과제로 꼽힌다.

시범서비스에서는 전자증명서 발급·제출, 유휴 공공자원 예약 등 국민 수요가 높은 개별 공공서비스를 중심으로 제공할 예정이다. 향후에는 생애주기별 생활·행정 업무를 한 번에 처리하는 원스톱 서비스를 구현하고, 개인의 상황과 조건에 맞춰 자동으로 처리하는 단계까지 점차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다.

이번 시범서비스는 네이버 검색포털과 카카오톡을 통해 제공될 예정이다. 또한 양사가 각각 보유한 AI인 '하이퍼클로바X'와 '카나나'를 기반으로 시범서비스 구현을 지원한다.

윤호중 장관은 "국민이 일상에서 체감할 수 있는 AI 민주정부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민간의 혁신적인 기술과 협력이 필수적"이라며 "이번 협약을 계기로 정부와 민간이 힘을 합쳐, 국민 누구나 말 한마디로 쉽고 편리하게 공공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lahbj1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