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간 스마트공장 1321곳 폐업…매몰 729억
경기도 315곳 최다…기계·자동차 부품업 중심
김동아 의원 "제조데이터 공공화 방안 마련 시급"
[세종=뉴스핌] 김기랑 기자 = 정부가 10년간 2조1410억원을 투입해 육성한 '스마트공장' 가운데 1300여곳이 문을 닫으면서 막대한 예산과 함께 핵심 데이터 자산이 사라지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산업 전반의 디지털 전환 정책이 '양적 확대'에만 치중해 지속 가능성 확보에는 실패했다는 지적이다.
23일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김동아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중소벤처기업부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2014년부터 지난해까지 정부 지원으로 구축된 스마트공장 3만5282곳 중 1321곳이 폐업했다. 이로 인해 발생한 매몰비용은 약 729억원에 달한다.

지역별로는 경기도가 315곳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는 ▲경남 187곳 ▲경북 147곳 ▲대구 94곳 ▲부산 87곳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기계장비 212곳, 자동차부품 189곳, 금속가공 123곳, 전자부품 107곳, 식료품 101곳 등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공장과 함께 사라진 데이터다. 스마트공장은 사물인터넷(IoT)과 빅데이터, 인공지능(AI), 로봇 등을 활용해 생산·품질·설비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축적한다. 폐업 시 이런 정보는 대부분 시스템과 함께 폐기된다.
김 의원은 "이재명 정부가 스마트공장 1만2000개 확대를 국정과제로 내세웠지만, 기존 공장 폐업으로 인해 축적된 데이터가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며 "AI 시대에는 데이터가 석유보다 비싼 자원인 만큼, 정부가 사장된 데이터를 공공데이터로 전환해 중소기업과 AI기업이 공동 활용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r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