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캐나다가 미국 의존도를 낮추고 대(對)아시아 원유 수출을 확대하기 위해 하루 100만 배럴 규모의 신규 송유관 건설을 추진한다고 파이낸셜타임스(FT)가 27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마크 카니 캐나다 총리는 이날 앨버타주의 다니엘 스미스 주총리와 북부 오일샌드 지역을 서부 해안과 연결하는 총 1100㎞ 송유관 사업을 위한 양해각서(MOU)에 서명했다.
이번 사업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무역전쟁으로 긴밀히 얽힌 북미 공급망이 흔들리는 상황에서, 캐나다가 대미 의존도를 낮추고 수출축을 아시아로 돌리기 위한 전략적 조치라는 평가다.

캐나다는 미국 원유 수입량의 약 60%인 하루 400만 배럴을 공급하고 있으며, 대부분이 앨버타 오일샌드에서 생산된다.
카니 총리는 이날 캘거리시 상공회의소에서 진행한 발표 행사에서 "캐나다를 에너지 초강국으로 만들고, 배출을 줄이며, 수출 시장을 다변화하겠다"며 "더 크고 빠르게 인프라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합의문에 따르면 송유관으로 인한 원유 생산 증가분으로 발생하는 배출량은 앨버타주에서 추진 중인 165억 캐나다달러 규모의 탄소 포집·저장(CCS) 프로젝트 '패스웨이스 얼라이언스(Pathways Alliance)'를 통해 상쇄할 계획이다.
앨버타주는 향후 10년간 메탄 배출을 75% 감축하기로 했으며, 카니 정부는 전임 트뤼도 정부가 도입했던 오일·가스 배출 상한제(cap)는 시행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캐나다는 이미 지난해 5월부터 밴쿠버 항을 통해 하루 89만 배럴 규모의 기존 송유관으로 아시아 시장에 원유를 보내고 있으며, 스미스 주총리는 "시장 확대를 위해 두 번째 송유관이 필수적"이라고 주장해 왔다.
다만 프로젝트 추진에는 상당한 법적·정치적 난관이 예상된다. 캐슬스(Cassels) 로펌의 제러미 바레토 변호사는 "브리티시컬럼비아주와 영향권 원주민 정부의 지지를 얻지 못하면 장기 소송으로 이어질 수 있다"고 말했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의 데이비드 에비 주총리는 협상 과정에서 배제된 데 대해 "용납할 수 없다"고 반발하며 강경한 반대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특히 송유관 종점이 위치한 브리티시컬럼비아 북부 해역의 원유 유조선 통행 금지 조치를 '조정할 수 있다'는 내용이 MOU에 포함됐지만 구체적 설명은 없어, 해당 금지 조치가 완화돼야 사업이 실질적으로 추진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해안 원주민 단체 '코스털 퍼스트 네이션스'의 마릴린 슬렛 대표 역시 "우리는 결코 해안이 대규모 원유 유출 위험에 노출되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며 "이 프로젝트는 절대 진행될 수 없다"고 반발했다.
wonjc6@newspim.com

![[누리호 4차 발사 성공] 예산 삭감·사업 지연…차세대 발사체 개발 '딜레마'](https://img.newspim.com/news/2025/11/27/251127141131250_w.jpg)



![[단독] 기상청 외국산 장비 의존 질타하더니… 정작 국산화 R&D 예산 깎으라는 국회](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1/27/2025112751813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