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소기업 육아휴직 ‘8배’ 차이…“기업별 지원 정책 必”

2025-02-20

소규모 기업은 대체인력 부족으로 가족친화제도에 소극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20일 경기연구원에 따르면 대기업(근로자 100~300명) 육아휴직제도 이용률은 75.0%인 반면 소기업(근로자 1~9명)은 9.5%에 불과했다.

가족친화제도 운영 시 어려움은 ‘동료·관리자 업무 가중(32.9%)’, ‘대체인력 확보의 어려움(25.0%)’, ‘비용 부담(11.4%)’ 등 순으로 나타났다.

앞서 경기연구원은 지난해 11월 도내 민간기업 CEO 217명을 대상으로 가족친화제도 도입 실태와 효과·인식을, 재직 중인 근로자와 CEO 11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조사를 진행했다.

연구원은 조사 결과 기업 규모가 작을수록 대체인력과 운용비용이 마땅치 않다고 분석, 가족친화제도 정착과 안정적인 운영을 위한 9개 세부 실천과제를 제안했다.

구체적으로 ▲경기 가족친화인증제도 프리미엄화 ▲가족친화 리더 기업 네트워크 ▲직장 내 찾아가는 가족친화교육 다면화 ▲리프레시 제도, 0.5&0.75잡 제도 확산 ▲조직 내 가족 중심 교류활동 활성화 ▲경기도 돌봄기회 지원금 추진 ▲소규모 기업 인센티브 강화 ▲경기 가족친화인증제도 항목 조정·인센티브 제고 ▲경기도 중소기업 대체인력풀 운영 등이다.

황은정 경기연구원 연구위원은 “가족친화 문화를 토대로 기업, 근로자가 함께 성장하며 존중받는 사회를 구축하기 위해 전국에서 최다 민간기업이 위치한 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했다.

또 “가족친화제도 도입이 어려운 소규모 기업에 대한 추가 지원과 함께 기업 특성에 맞춘 효과적인 정책 경로를 모색할 필요가 있다”고 부연했다.

[ 경기신문 = 이유림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