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양연화 시작의 중심"…'공동경비구역' 박찬욱 감독과 주역들의 재회 [D:현장]

2025-02-04

박찬욱 감독과 배우들이 25년 만에 다시 모여 '공동경비구역 JSA'의 의미를 되새겼다.

4일 서울 용산구 CGV 용산아이파크몰 박찬욱관에서는 CJ ENM 30주년 기념 비저너리(Visionary) 선정작인 영화 '공동경비구역 JSA'(감독 박찬욱) 스페셜 GV가 진행됐다. 이 자리에는 박찬욱 감독, 배우 송강호, 이병헌, 이영애, 김태우와 CJ ENM 고경범 영화사업부장이 참석했다.

2000년 개봉한 '공동경비구역 JSA'는 분단 현실을 인간적인 시선으로 풀어내 남북 관계에 대한 대중 인식 변화에 기여, 한국 영화사의 전환점으로 평가받았다.

박찬욱 감독과 배우들은 25년 만에 다시 모인 것에 대해 기쁜 마음을 드러냈다. 송강호는 "2시간 동안 25년 만에 만나 밥을 먹는데 기분이 이상했다. 짧은 시간 동안 지나온 세월의 그리움 같은 감정을 느꼈다"라고 말했고 이병헌은 "젊은 세대 관객들이 많은 걸 봤다. 처음 이 영화를 접하는 분들도 많을 것이다. 과연 그분들이 어떤 감상을 느끼셨을지 궁금하다. 오늘의 행사가 기대된다. 가족들도 함께 영화를 봤다. 여러분들에게도 의미 있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라고 전했다.

이영애는 "'비저너리' 덕분에 신하균은 빠졌지만 25년 만에 완전체가 모인건 처음이라 떨리고 부끄럽다. 막상 모여 이런저런 이야기를 나누니 편안했다. 따뜻하고 편안했다"라고 말했고 김태우는 "참여한 배우로서 감동적인 자리다. 남성식 일병이 나이가 들어 50대 중반이 됐다. 많은 이야기 나누고 가겠다"라고 기대감을 드러냈다.

CJ ENM은 2020년부터 방송, 영화, 음악, 예능 등 한국 대중문화 전 분야에서 자신만의 오리지널리티를 토대로 새로운 비전을 제시하는 대체 불가의 인물들을 '비저너리'(Visionary)로 선정해 왔다. 올해는 30주년을 기념하며 업계에서 No.1 임팩트를 창출하고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었던 '비저너리 선정작'을 조명했으며 영화 부문에서는 '공동경비구역 JSA'가 이름을 올렸다

고경범 영화사업부장은 "'공동경비구역 JSA'가 개봉했던 당시 공부하던 학도였다. 지금은 영화 사업을 하는 입장에서 영화사적으로 중요한 이 작품을 30주년 맞아 다시 소개해 드리게 돼 기쁘다"라고 말했다.

박찬욱 감독은 영화의 비하인드 스토리를 들려줬다. 당시 국가보안법 때문에 비장한 각오로 임했다면서 "90년대에는 국가보안법이 제대로 작동하고 있었고 실제로 많은 사람들이 귀에 걸면 귀걸이, 코에 걸면 코걸이식의 해석으로 법의 구속을 받고 있었다. 주적이라 불리는 북한과 군인과의 우정을 다룬다면 법에 걸릴 수도 있었다. 하지만 개봉 때 김대중 대통령이 북한을 방문하고 정상회담을 하게 됐고 우리가 했던 걱정은 기우였다"라고 털어놨다.

또한 영화 결말에 대해 "이수혁이 죽지 않고 오경필 중사를 만나러 가는 길에서 끝나는 걸 고집했었다. 또 소피 장의 이야기로 결말을 내는 것도 생각했었다"라고 밝혔다.

배우들은 '공동경비구역 JSA'에 대해 저마다의 애정을 드러냈다. 송강호는 '공동경비구역 JSA'의 시나리오를 처음 봤을 때를 떠올렸다. 그는 "당시 이 시나리오는 한국 영화 시나리오 중 가장 촘촘하고 완벽을 추구하는 구성이었다. 그래서 오히려 '한국영화가 이걸 구현할 수 있다고?'라는 생각이 먼저 들었다. 믿기지 않았다"라면서 "박찬욱 감독님에게 신뢰를 느낀 건 첫 만남에서였다. 명필름 제작사에서 만났는데 등장부터 기품과 품격을 느꼈다"라고 말했다.

이어 "이 작품은 제 배우 인생에서 중요한 작품이다. 1995년 '돼지가 우물에 빠진 날'로 데뷔한 이후, 수많은 굴곡 가운데 첫 번째 화양연화가 왔는데 그 중심에 '공동경비구역 JSA'가 있었다. 박 감독을 여전히 한 시대를 같이 살아가는 훌륭한 선배이자 거장 감독님으로 존경하고 있다"라고 말했다.

이병헌은 "이 작품은 해외의 한국영화 마니아들 사이에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작품이다. 저를 외국에서 설명할 때도 항상 대표작으로 언급되는 영화다"라며 "시간이 지나도 여전히 그 가치를 인정받는 작품이라는 것이 참 감격스럽다"라고 기뻐했다.

이영애는 "이 영화를 20대에 만났기에 30대의 제가 있고 '친절한 금자씨'도 할 수 있었다. 화창한 30대를 보낼 수 있었던 관문의 기적같은 작품"이라고 말했다.

끝으로 박 감독은 25년 동안 CJ ENM과 손을 잡고 '공동경비구역 JSA'를 포함 '올드보이', '친절한 금자씨', '박쥐', '아가씨', '헤어질 결심'에 이어 올해 가을 개봉 예정인 '어쩔수가없다'까지 호흡을 맞춰온 것에 대해 "한국에서 영화 산업이 급변하고 있다. 미국과 비교한다면 스튜디오의 힘이 커지는 과정 중에 있다. 적어도 제가 느끼기에는 CJ ENM은 저에게 받아들일 수 없는 것들을 요구한 적이 없었다. 흥행의 유무 없이 변함이 지원해 주고 있다"라고 강조했다.

고경범 영화사업부장은 "한국영화 시장이 큰 변화를 맞고 어려운 시기에 있다. 지금 이 시대에 또 다른 '공동경비구역 JSA' 같은 작품이 필요하다. 게임의 흐름을 바꾸는 작품이 나와서 또 다른 챕터를 쓸 수 있는 동력을 마련해야 하는 타이밍에서 이 작품을 소개하게 돼서 이 시대에 '공동경비구역 JSA'가 어떤 영화인지 다시 생각해 보게 됐다"라며 "이 작품을 비롯해서 30년 동안 콘텐츠 역사에서 변곡점을 만든 작품들을 소개하면서 새로운 동력을 얻고 싶다"라고 전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