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완연한 봄날씨를 맞아 야외활동을 즐기려는 이들이 많다. 자외선 차단을 위해 선크림을 바르는 건 이제 익숙한 습관으로 자리잡았다. 하지만 눈 보호를 위해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경우는 적다. 강한 자외선은 눈 건강에 악영향을 미친다. 수정체에 영향을 줘 백내장 발생 위험을 높이고, 망막 중심부 황반에도 손상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햇빛이 강한 날에는 선글라스를 착용해 눈을 보호하는 것이 중요하다.
백내장은 수정체가 혼탁해지면서 시야가 흐려지는 질환이다. 주로 노화 때문에 발생하지만, 자외선 노출도 주요한 위험 요인 중 하나다. 세계보건기구(WHO)에 따르면 전 세계 백내장 환자의 약 20%가 자외선 노출과 관련이 있다. 자외선에 지속적으로 노출되면 수정체 내 단백질 변성이 가속화해 백내장 발생 위험을 높인다.
자외선, 백내장·황반변성 발생 원인
백내장이 진행하면 시야가 점점 뿌옇게 변한다. 강한 빛에 대한 눈부심이 심해지거나 빛이 퍼져 보이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야간 시력 저하, 복시와 같은 증상이 동반되기도 한다. 치료하지 않고 방치하면 시력이 지속적으로 악화될 수 있다. 고려대 구로병원 안과 최광언 교수는 “백내장은 진행 속도가 개인마다 다르지만, 일단 발생하면 자연적으로 회복되지 않는다”며 “증상이 심해지면 수정체 제거술 및 인공수정체 삽입 수술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자외선은 황반에도 위협적이다. 망막 중심부에 위치한 황반은 시력의 90% 이상을 담당하는 중요한 부위다. 이곳이 손상되면서 시력 저하가 발생하는 질환을 황반변성이라고 한다. 65세 이상 인구에서 실명을 유발하는 주요 원인으로 꼽힌다. 주로 연령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 유전적 요인과 함께 흡연, 비만, 자외선 노출 등 환경적 요인도 영향을 미친다. 최 교수는 “특히 자외선은 망막 세포에 산화적 손상을 유발해 황반변성 진행을 촉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초기 증상은 미미해 자각하기 어렵다. 손상이 진행되면 물체가 일그러져 보이거나 중심 시야가 흐려지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한쪽 눈을 가리고 봤을 때 사물이 휘어져 보이거나 중심 시야에 이상이 감지된다면 즉시 안과 검진을 받아야 한다. 최 교수는 “조기 발견 시 치료 효과가 높아진다”며 “정기적인 안과 검진을 통해 황반변성의 진행을 늦추고, 영구적인 시력 저하를 예방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모자·선글라스 착용해 어린이도 시력 보호
백내장과 황반변성을 예방하기 위해선 자외선 노출을 줄여야 한다. 강한 자외선에 노출될수록 망막 손상 위험이 증가한다. 자외선은 성인뿐만 아니라 어린이의 시력 발달에도 악영향을 준다. 어린이의 수정체는 성인보다 투명해 자외선을 더 많이 흡수한다. 따라서 자외선이 강한 날엔 아이도 모자나 선글라스를 착용하는 게 좋다. 강한 햇빛 아래에서 장시간 활동하는 경우 반드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는 보호 장비를 반드시 착용해야 한다.
특히 선글라스를 사용할 땐 자외선 차단 기능이 검증된 제품인지를 따져봐야 한다. 자외선 차단 기능이 없는 선글라스를 착용하면 동공이 확장된 상태에서 오히려 더 많은 자외선에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다. 최 교수는 “선글라스를 선택할 땐 반드시 ‘UV 차단 99~100%’ 또는 ‘UV400’이 표시된 제품을 고르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말했다.
신영경 기자 shin.youngkyung@joongang.co.kr
※눈 보호를 위한 생활습관 실천법
1. 햇빛이 강한 시간대(오전 10시~오후 3시)에는 야외활동을 줄인다.
2. 외출 시 자외선 차단 기능이 있는 선글라스를 착용한다.
3. 챙이 넓은 모자를 활용해 직사광선을 차단한다.
4. 균형 잡힌 식습관과 실천해 눈 건강을 유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