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시멘트 내수 판매 33년 만에 2000만 톤 붕괴…"IMF·금융위기보다 위기감"

2025-08-01

국내 시멘트 업계의 상반기 내수 판매가 33년 만에 처음으로 2000만 톤 아래로 붕괴됐다. 건설 경기 침체가 장기화하면서 후방 산업인 시멘트 업계 출하량 부진이 이어질 전망이다.

한국시멘트협회는 국내 시멘트사들의 올해 상반기(1~6월) 시멘트 내수(출하)가 전년 동기 대비 17.4%(399만 톤) 감소한 1888만 톤으로 집계됐다고 1일 밝혔다.

상반기 기준으로 시멘트 내수 판매량이 2000만 톤 이하로 떨어진 것은 1992년 1976만 톤 이후 33년 만에 처음이다.

최근 5년간 상반기 시멘트 내수 실적 가운데 가장 낮은 수치다. 2023년 2604만 톤을 정점을 찍은 후 불과 2년 만에 무려 27.5%(716만 톤) 급감했다. 시멘트협회 관계자는 "시멘트 업계의 위기감은 최악으로 치닫고 있다"면서 "이미 위기 경영에 돌입한 상황이지만, 실효성 높은 건설 경기 부양 대책이 나오지 않는 이상 효과를 거두기 어려워 올해 시멘트 내수는 4000만 톤을 크게 밑돌 것으로 전망한다"고 설명했다.

국제통화기금(IMF) 외환 위기 시기였던 1998년과 미국발 서브프라임 모기지론으로 촉발된 금융위기 시기인 2008년에도 시멘트 내수 판매량은 각각 2148만 톤, 2404만 톤을 기록하며 2000만 톤을 유지했다.

극심한 건설 경기 침체가 지속되면서 시멘트 출하의 감소로 이어지는 영향이다.

이에 따라 이달 중순께 발표될 삼표시멘트, 쌍용 C&E, 한일시멘트, 아세아시멘트, 성신양회 등 국내 주요 시멘트사의 경영 실적도 악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반기에도 건설 경기 반등이 쉽지 않아 시멘트 업계의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업계 관계자는 “하반기 들어 연기된 건설공사의 착수 및 사업 추진 등으로 감소율이 더 완화될 것으로 보이나 지속적인 건설경기 침체 흐름을 반전시키기에는 역부족”이라며 “정부의 사회간접자본(SOC) 예산 감소로 시멘트 내수 판매량 상승 제한적일 것”으로 진단했다.

최근 강화된 환경규제도 시멘트 업계에 어려움을 가중시키는 모양새다.

시멘트 협회가 발표한 '2024년 설비투자 실적 및 2025년 계획'을 보면 지난 2021년부터 올해까지 5년간 시멘트 업계가 환경 규제에 대응해 집행한 설비 투자액이 총 2조 5306억 원으로 집계됐다.

건설경기 침체에 따른 경영 실적 부진에도 불구하고 강화된 환경 규제 준수를 위한 투자는 증가한 것으로 분석된다.

환경규제 대응 비용으로 분류되는 합리화설비투자의 5년 평균치는 4302억 원으로 같은 기간 순이익(4200억 원)을 넘어섰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