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롯데카드에서 발생한 이번 해킹 사태로 인해 최대주주인 사모펀드(PEF) MBK파트너스의 지분 매각도 사실상 무산될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홈플러스 사태로 인해 연체율이 급등하며 건전성에 우려가 불거지는 상황에서 예상치 못한 후속 보안 조치 비용까지 추가로 발생한 영향이다.
2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롯데카드의 연체율은 2.32%로 직전 분기 1.94% 대비 0.36%포인트(P) 증가했다. 2분기 다른 전업 카드사 7곳의 연체율이 일제히 감소한 가운데 롯데카드만 연체율이 치솟았다. 고정이하 채권 비율도 2.37%로 전년 동기 대비 1.01%P 늘었다. 전업 카드사 가운데 유일하게 2%대의 부실채권 비율을 기록 중이다.
업계 안팎에서는 최근 이어지는 롯데카드의 건전성 악화가 매각을 위한 수익성 개선 작업에 집중하면서 불거진 결과로 해석하는 분위기다. 실제 롯데카드의 2분기 당기순이익은 대손충당금 적립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줄었지만, 영업수익은 9.7%가 증가했다. 상반기 말 기준 회원수도 967만명으로 6개월전 대비 10만명이 늘었다.
이번에 발생한 해킹 사고는 그간 수익성 확보에 매진하던 롯데카드 기업 가치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가능성이 크다. 기업 평판 훼손은 물론 향후 추가로 발생할 수 있는 피해에 대한 각종 법적·재정적인 리스크가 남아있기 때문이다.
추가 보안 조치도 숙제다. 웹셸 공격으로 인한 제 2의 피해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어서다. 실제 SK텔레콤은 최근 대규모 해킹 사고 이후 5년간 7000억원을 보안에 투자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롯데카드 역시 추가적인 보안 체계 구축을 위한 신규 투자 수요가 발생할 가능성이 크다.
문제는 대주주인 MBK파트너스가 롯데카드 신뢰 회복을 위한 적극적인 조치에 나설 만한 상황이 아니라는 점이다. 단기 수익을 추구하는 사모펀드의 특성은 물론이고, 당장 홈플러스 등 여타 투자 자산에 대한 회수도 쉽사리 진척이 되지 않고 있어서다. 주요 신용평가사들 역시 롯데카드에 대해서는 신용 평가 과정에서 유사시 계열사 지원 가능성을 전혀 반영하지 않고 있다.
보안 업계 관계자는 “2017년에 확인된 취약점에 노출됐다는 사실만으로도 매각을 서두르고 있는 사모펀드 입장에서 보안 거버넌스에 대한 관심을 전혀 기울이지 않았다는 걸 짐작할 수 있다”면서 “결국 대주주의 재무적 어려움이 금융 보안에도 악영향을 준 셈”이라고 판단했다.
금감원 조사 결과에 따라 징벌적 과징금 및 손해배상 소송 등 추가적인 비용이 발생할 가능성도 크다. 특히 최종적으로 개인정보까지 유출됐을 경우 예상되는 피해액도 상당하다. 롯데카드의 건전성에도 직격탄이 될 수 있다.
류근일 기자 ryuryu@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