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을 빨리 끓이기 위해 수돗물 온수로 음식을 조리하면 건강에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세계보건기구(WHO)와 미국 환경보호청(EPA)은 최근 수돗물을 마시거나 요리할 때 반드시 냉수를 사용할 것을 권고했다.
이는 수돗물 온수와 냉수의 공급 경로가 다르기 때문이다. 냉수는 정수장에서 처리된 물이 수도관을 통해 가정까지 직접 공급되지만, 온수는 보일러나 온수기 배관을 거쳐 나온다. 이 과정에서 급수관 내부에 고여 있던 물이 흘러나올 수 있으며, 배관이나 보일러 탱크에 오래 머무르면서 구리, 납, 니켈, 철, 아연 등 중금속이 섞일 위험이 있다. 물 온도가 높을수록 납 용출량이 증가하고, 오래된 배관일수록 위험은 커진다. 2022년 서울 마포구 한 아파트의 온수에서 독성물질인 페놀이 음용수 기준치(리터당 0.0005mg) 이상 검출된 사례도 있다.
중금속은 끓여도 제거되지 않는다는 점에서 더욱 위험하다. 수돗물 염소 소독 시 생성될 수 있는 발암물질인 트리할로메탄이나 박테리아는 끓이는 과정에서 제거되지만 중금속은 그렇지 않다. 중금속은 체내에 축적돼 신경계, 신장, 간, 혈액, 호흡기 등에 손상을 일으키며 발암물질로 작용할 수 있다. 어린이와 임산부에게는 특히 치명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샌드위치·햄버거에 ‘이것’ 없으면 맛없는데…암 유발하는 발암물질? [수민이가 궁금해요]](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6/20251026501117.jpg)



!["더 추워지기 전에 떠나자" 캠핑족 척추건강 챙기는 3가지 습관 [일터 일침]](https://newsimg.sedaily.com/2025/10/26/2GZBT5MJWH_1.jpg)
![[Tech 스토리] '먹는 비만약' 시대 임박…플랫폼·제형 기술이 승부처](https://img.newspim.com/news/2025/10/20/2510201729294780.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