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직장 내 상사나 부하 직원과 연애를 하는 것이 연봉 상승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22일(현지시간) 전미경제연구소(NBER)에 따르면 데이비드 맥도널드, 에밀리 닉스, 제리 몬토넨 연구진은 ‘상사와의 연애가 주는 영향(The impacts of romantic relationships with the boss)’이라는 보고서를 통해 1988년부터 2018년까지 30년간 핀란드 직장인들의 고용 행정 통계를 분석했다.
핀란드는 통계 데이터가 세밀하게 구축돼 있어 같은 회사에서 상사와 부하 직원이 동거하거나, 동거 후 이별했는지까지 추적이 가능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선행 연구에 따르면 미국 근로자 4명 중 1명 이상이 직장 내 연애를 경험했으며, 이 중 18%는 직장 상사와의 연애였다. 핀란드의 경우 연인과 함께 사는 관리자 가운데 9%가 부하 직원으로 추정되는 직장 동료와 동거 중이었다.
핀란드 통계를 바탕으로 한 분석 결과, 상사와 연애 중인 부하 직원의 연봉은 연애 기간 동안 평균 6%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핀란드는 직무급 중심 체계로, 상사가 부하 직원의 연봉을 직접 결정할 수 있는 경우가 많다. 연구진은 상사와 연애 관계에 있는 직원의 급여가 실제 성과와 무관하게 오를 가능성이 높다고 지적했다.
연구진은 이러한 ‘정실주의(nepotism)’가 조직 전체에 부정적 영향을 준다고 연구진은 경고했다. 연인 관계 직원의 급여가 성과와 무관하게 오르면 다른 직원들의 이직률이 평균보다 6%포인트 높아진다는 것이다. 특히 연봉 불만에 따른 이탈은 대기업보다 중소기업에서 더 두드러졌다.
상사와 결별한 뒤의 영향도 뚜렷했다. 이별한 부하 직원의 고용 유지율은 평균보다 13%포인트 낮았고, 회사에서 퇴사한 뒤 새 직장으로 옮길 경우 연봉이 18% 감소하는 것으로 분석됐다.
연구진은 “연애 시작 후 소득이 오르는 반면, 이별 뒤에는 고용이 끊기거나 덜 유리한 직장으로 이동하면서 장기적인 소득 손실로 이어진다”고 분석했다.
연구진은 이어 “사내 연애를 무조건 금지하기보다는 상사가 연인관계인 부하직원의 평가·보상에 직접 관여하지 못하도록 제도적으로 차단할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최고경영자(CEO)들은 직장 내 연애 관계에 대한 정책을 결정할 때 우리가 제시한 비용과 잠재적 이점을 신중하게 비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