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독일 나치 독재자 아돌프 히틀러가 성호르몬 결핍을 유발하는 희귀 질환 칼만증후군을 앓았을 가능성이 높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13일(현지시간) AFP통신과 영국 더타임스에 따르면 투리 킹 영국 배스대 밀너진화연구소장이 이끄는 국제 연구팀은 히틀러의 유전자 분석을 통해 이 같은 결론을 도출했다. 연구 결과는 오는 15일 방영될 영국 채널4 다큐멘터리 ‘히틀러의 DNA’에서 공개될 예정이다.
1945년 5월 로스웰 로즌그렌 미군 대령은 히틀러가 자살한 벙커 소파에서 피 묻은 천 조각을 잘라내 보관했다. 이 유물이 훗날 히틀러의 DNA를 분석할 단서가 됐다고 한다.
제2차 세계대전 당시 연합군 사이에서는 ‘히틀러의 고환은 하나뿐’이라는 노래가 퍼질 만큼 그의 남성성 부족을 조롱하는 이야기가 떠돌았지만 지금까지 과학적 근거는 없었다.
나치 독일 전문가인 앨릭스 케이 포츠담대 역사학 교수는 “히틀러가 평생 여성 앞에서 그렇게 불편해하고 친밀한 관계를 맺지 못했는지 이유를 아무도 알지 못했다”며 “칼만증후군이 우리가 찾던 답일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칼만증후군은 성선 자극 호르몬을 제대로 분비하지 못해 성적 발달이 지연되는 희귀 질환이다. 후각 상실이나 이차성징 이상 등이 동반될 수 있다.
다큐멘터리 제작진에 따르면 연구진의 분석 결과 히틀러는 칼만증후군을 앓았을 가능성이 높았으며 자폐증ㆍ정신분열증ㆍ양극성 장애와 관련된 유전적 소인 점수도 상위 1% 수준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그러나 “히틀러의 유전적 특성이 그의 전쟁범죄나 인종주의 정책을 설명하거나 정당화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히틀러에게 유대 혈통이 있다는 오랜 소문에 대해서도 연구진은 사실이 아닐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DNA 분석 결과 히틀러의 Y 염색체가 부계 혈통의 기존 데이터와 일치한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투리 킹 교수는 “히틀러의 정책은 우생학에 바탕을 두고 있다”며 “히틀러가 본인의 유전자 결과를 볼 수 있었다면 본인부터 가스실로 보냈을 게 거의 확실하다”고 비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