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 여성작가가 시적 산문으로 그린 인간"
[서울 = 뉴스핌] 오광수 문화전문기자 = 한강의 소설이 한국인 최초로 노벨문학상을 수상할 수 있었던 이유는 무엇이었을까. 한강과 연세대 선후배로 대학 시절을 보낸 문학평론가 유성호 한양대 교수는 문학 전문지 '쿨트라' 11월호에서 "그의 소설은 최대한 '시'에 근접하면서 굵직한 근대사 경험을 아름다운 문장에 초대한다. 그러면서 한강 브랜드라고 할 수 있는 특유의 예술성을 생성한다. 그의 문장은 독백이든 대화든 묘사나 서술이든, 그의 손가락에서 솟아나온 물샐틈없는 목소리를 통해 촘촘하고 완벽하게 구축된다"고 분석했다.
문학평론가 이광호, 허희 등이 '쿨트라' 기고문에서 분석한 한강 작품의 수상 이유와 작품의 장점에 대해 알아봤다.
유성호 교수는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이유에 대해 "하나는 그가 역사를 마주하는 방식이다. 종래 작가들처럼 역사의 트라우마가 형성되는 과정을 재현하지 않고 그 사건의 현장, 장면, 순간, 인물의 내면으로 들어가 그 상처를 위무하고 치유하는 방식을 택한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노벨문학상 심사위원회는 이러한 이중의 타자(아시아, 여성)를 조건으로 가진 작가가 보여준 이중의 역주행(내면, 시적 문장)을 높이 평가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 채식주의자
한강을 세계적 작가 반열에 올려놓은 연작 소설 '채식주의자'는 함축적 문체와 밀도 있는 구성이라는 작가 특유의 개성이 고스란히 살아 있으면서도 상처 입은 영혼의 고통을 식물적 상상력에 결합시켜 '섬뜩한 아름다움'을 완성하였다. 여성 수난사를 기본 골조로 삼았지만 기존 소설처럼 가부장제로 인한 여성 피해라는 단선적 질서로 표현하지 않고, '육식/채식'이라는 프레임으로 그 역사를 썼다. 소설 안에서 육식과 채식은 일차적으로는 아버지가 강요한 질서와 주인공이 이에 저항하면서 대안으로 내세운 성향을 함의하지만, 궁극적으로는 육식으로 상징되는 남성적, 동물적 욕망과 채식으로 상징되는 여성적, 식물적 부드러움의 세계를 비유적으로 환기한다. 이는 전쟁이나 기후 위기 같은 인류사적 과제에 대하여 식물적 상상력을 원천으로 하는 한강 특유의 관점과 지향이 착색된 셈이다. (유성호)
소설 내용은 자못 충격적이다. 인혜는 동생 영혜와 남편이 온몸에 형형색색 꽃을 그리고 짐승처럼 뒤엉켜 헐떡이는 영상을 보게 된다. 동생도 남편도 아닌, 소설 속 표현에 따르면 "식물이며 동물이며 인간, 혹은 그 중간쯤의 낯선 존재"들을 발견한 순간, 인혜는 자신에게 하나뿐이던 두 사람을 잃는다. 그 뒤 가끔 그녀는 자신에게 이렇게 묻곤 한다. "언제부터 이 모든 일들이 시작되었을까. 아니, 무너지기 시작했을까." 어제와 마찬가지로 오늘도 탈 없이 흘러가리라는 믿음은 얼마나 부서지기 쉬운가. 우리가 충격에서 헤어날 수 없는 것은 갑작스러운 사고를 당한 때가 아니다. 서서히 진행된 사건을 뒤늦게 눈치챈 순간이다. 오직 하나뿐인 그것에 실은 수많은 금이 가 있었다는 사실을 발견했을 때이다. 한강은 이 작품을 통해 비슷하게 반복되고, 평범해서 지루한 날이 계속될 것만 같은 삶이 언제부턴가 조금씩 허물어지고 있던 순간을 독자로 하여금 곱씹게 한다. (허희)
◆ 소년이 온다
우리의 공공적 기억을 가장 고통스러운 방식으로 증언한 한강 문학의 정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가 형상화한 이 아름다운 기억의 윤리학에서 우리는 세상에서 가장 숭고한 심장의 맥박을 느끼게 된다. (유성호)
'채식주의자'에서 그려낸 그로테스크한 미적 세계를 넘어선, 구체적인 역사-5.18 광주민주화운동이 전면화되기 때문이다. 나는 이를 한강이 수행한 '내재적 초월'이라고 이름 붙이고 싶다. 그녀가 이 작품의 연재를 시작하는 글에서 이렇게 쓴 적이 있기 때문이다. "반짝이는 소설을 쓰겠다고? 네 심장 가운데로 들어가 봐, 무엇이 거기서 널 기다리는지. 두려워하며 나는 심장 가운데로 들어가, 눈을 뜨고 들어가, 결코 내가 쓰지 않을 거라고 생각했던 이야기와 마주쳤다. 이 소설을 쓰기로 마음먹으면서, 나는 다른 사람이 되기를 원했다."
내가 다른 사람이 되기 위한 추동력을 외부에서 얻는 것이 아니다. 한강은 자기 심장에 박혀 있는 근원적인 역사(이야기)와 대면하여 가능케 하는 소설 쓰기의 방법론을 주창했다. 그러기에 나는 이를 경험적 총체 속에서 그것을 뛰어넘는 내재적 초월이라고 명명할 수밖에 없다. '소년이 온다'는 5.18 당시를 포함한 현재에 이르는 소설적 애도의 작업이기도 하다. 5.18 자체를 재현하는 데 목적이 있다기보다는, 그 사건으로 인해 인생이 완전히 달라진 이들의 삶을 초점화한다. (허희)
◆ 작별하지 않는다
현대사의 아픔과 개인의 상처를 서정적이면서도 강렬한 필치로 그려낸 소설이다. 실종과 생존의 불가피한 조건 속에서 고요하지만 악착같은 싸움을 해 가는 이들에게 작별이란 영원히 이루어지지 않을 것이다. 공간적으로는 제주에서 시작하여 한반도 곳곳을 찾아가고 있고, 시간적으로는 제주 4.3 사건 이후 수십 년을 횡단하는 이 작품은 폭력에 훼손되었어도 인간의 존엄은 포기될 수 없다는 서사를 품고 있다. 그러니 작별할 수 없다는 것이다. (유성호)
그녀(한강)는 이 작품이 "지극한 사랑에 대한 소설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슬픈 것들, 아픈 것들과 작별하지 않는다는 의지 또한 지극한 사랑의 마음이라고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이 소설은 그녀가 가진 작가로서의 소명을 결연하게 밝히는 작품이다. (허희)
'작별하지 않는다'라는 소설 제목이 암시하는 것처럼, 살아 있는 한 무거운 애도를 끝낼 수 없다면, 시적 애도의 언어들은 저 죽음들을 삶 안쪽으로 끝없이 불러낸다. 그 불러냄은 마치 '초혼'의 의례처럼, 돌아오지 못하는 것들을 마침내 나타나게 하는 목소리이다. 세계문학은 지금 그 목소리의 시간 속에 있다. (이광호)
oks3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