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관광공사 사장 ‘알박기 논란’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한국관광공사 노동조합이 23일 기자회견을 열어 “윤석열 정권 말기 낙하산 인사 졸속 임명 시도의 즉각적인 철회”를 촉구했다.
변정섭 관광공사 노조위원장은 23일 국회 소통관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정권과의 인연만을 무기로 삼고 공사를 ‘자리’와 ‘기회’로 여기는 이른바 낙하산 인사들이 다시금 공사에 들어오는 것에 단호히 맞설 것”이라며 “알박기식 낙하산 사장 임명을 결코 받아들일 수 없으며 공모가 철회될 때까지 모든 수단을 동원해 저항하고 투쟁할 것”이라고 선언했다.

관광공사 노조가 강력 대응을 선언한 이유는 현재 1년 3개월간 공석인 관광공사 신임 사장에 윤석열 정부 관련 인사가 내정됐다는 소문이 파다해서다. 변정섭 위원장은 “현재 최종 후보가 3명으로 압축됐는데 이 중에서 이용호 전 국민의힘 의원이 제일 유력한 것으로 파악됐다”고 말했다.
변 위원장은 이어 “공사 직원들에 폭언을 일삼고 전횡을 휘둘렀던 이재환 전 관광공사 부사장을 2023년 문화체육관광위 국정감사장에서 대놓고 옹호했던 인물이 이용호 전 의원”이라며 “이 전 의원이 염치가 있다면 공사 직원에게 사과하거나 최소한 공사 사장에 지원하지 말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광공사 사장 임명 과정도 석연치 않은 점이 있다. 1년 3개월 넘게 공석 상태인 관광공사 사장을 윤석열 정부 말기에 서둘러 임명하려고 하기 때문이다.
김장실 전 사장이 총선 출마를 이유로 물러난 게 지난해 1월 12일이다. 3년 임기 중 절반도 안 되는 1년 3개월만 채웠을 때다. 신임 사장 임명 절차는 지난해 8월 시작됐다. 그러나 내정설이 돌았던 강훈 전 대통령실 국정홍보비서관이 ‘김건희 라인’으로 지목돼 지난해 11월 8일 중도 하차하자 임명 절차가 중단됐다.
그 이후로 감감무소식이었던 사장 임명 절차가 지난 2월 갑자기 재개됐다. 문체부는 2월 7일 지난해 강훈 전 비서관과 함께 최종 후보에 올랐던 나머지 인사들이 공사 사장으로서 부적격하다며 후보자를 재추천하라는 내용의 공문을 관광공사 임원추천위원회에 보냈다.
이후 신임 공사 사장 임명 절차가 진행됐고, 이용호 전 의원과 수도권 대학의 관광학과 A교수와 박근혜 정부 비서관을 역임했던 기자 출신 B씨가 최종 후보 3인에 들어간 것으로 확인됐다. 이 중에서 B씨는 지난 2월 문체부가 ‘부적격자 결정’을 내렸던 인물인데, 2개월 만에 다시 최종 후보에 올랐다.
변 위원장은 “정치권과의 줄만 의지해 수차례 공모에 나섰던 정치기자 출신 인사, 그리고 공사나 관광산업에는 무관심하면서 외부 네트워킹에만 몰두했던 정치 교수 역시 모두 공사 사장에 부적격자”라며 “지금 이 시점에 공사를 맡아 제대로 정상화할 수 있는 인사는 없다”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