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민 국가유산청장은 종묘 맞은편에 고층 건물이 들어서면 유네스코 세계유산 지위가 취소될 수도 있다고 6일 경고했다.
허 청장은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에서 서울시가 종묘 맞은편 재개발 사업지인 세운4구역의 높이 계획을 최근 크게 변경한 것에 대해 조국혁신당 김재원 의원이 의견을 묻자 “실로 깊은 유감”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서울시가 개발 공사를 강행한다면 어떻게 되냐’는 물음에 “위험에 처해서 세계유산이 취소될 가능성도 없지 않다”고 답했다.
국가유산청이 종묘의 세계유산 최소 가능성에 대해 언급한 것이 이번이 처음이다. 앞서 3일에는 보도자료를 통해 “종묘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미칠 부정적 영향이 우려된다”고 언급했는데 허 청장은 이날 한발 더 나간 것이다.
서울시는 세운4구역의 높이 계획을 변경하는 ‘세운재정비촉진지구 및 4구역 재정비촉진계획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을 지난달 30일 고시했다. 기존에는 올릴 수 있는 건물 높이가 종로변 55m, 청계천변 71.9m으로 정해져 있었으나, 이에 따라 최고 101∼145m로 변경된다. 청계천변 기준으로는 배에 가까운 수치다.
허민 청장은 특히 대한민국 전체가 경주 APEC에 노력을 기울이고 있을 때 서울시가 고시를 낸 것에 대해 더 큰 불만을 토로했다. 서울시는 이를 설명할, 흔한 보도자료도 내지 않은 것으로 전해졌다. 그는 “국가유산청은 2006년부터 서울시에 공문을 보내고, 회의를 거치면서 (세계유산영향평가를 받으라는) 유네스코 권고안을 따르라고 했다”며 “그런데 (서울시는) 아쉽게도 경주 APEC 기간에 기습적으로 39층, 40층을 올린다고 변경 고시를 냈다”고 지적했다.
허 청장은 “세계유산을 물려줄 것인지, 아니면 콘크리트 빌딩을 물려줄 것인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며 “높이가 100m, 180m, 혹은 그늘이 있나 없나가 아니라 국민과 함께 미래 세대에게 무엇을 물려주느냐 하는 부분을 살펴야 한다”고 강조했다.

종묘는 조선과 대한제국의 국가 사당으로 1995년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석굴암·불국사, 해인사 장경판전과 더불어 한국의 첫 세계유산이다. 유네스코는 종묘를 세계유산으로 등재할 당시 ‘세계유산 구역 내 경관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근 지역에서의 고층 건물 인허가는 없음을 보장해야 한다’고 명시한 바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