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직속 국가바이오위원회 출범 지연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 불가능할듯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비상계엄 여파가 산업 전반에 불어닥치면서 제약·바이오 업계의 근심이 깊어지고 있다. 환율 상승과 투자 심리 위축으로 기업들의 사업 불확실성이 커질 수 있다는 우려다.
10일 업계에 따르면 제약·바이오 기업들은 비상계엄 사태로 인한 환율 상승에 주목하고 있다. 환율 상승으로 인해 원료의약품 수입 비용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비상계엄 선포 직후 급등한 원달러 환율은 1400원대에서 등락을 오갈 것이란 전망이 나온다.
국내 기업들의 원료의약품 자급률은 11%대에 머물고 있는 실정이다. 수입 의존도가 높아 환율 변동에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해외에서 신약 개발과 임상을 진행하는 기업들의 어려움도 가중될 가능성이 크다. 환율이 상승하면 현지에서 임상을 실시하며 투입되는 비용 규모가 늘어나게 된다.
투자 심리 위축 또한 악재다. 신약 개발에 시간과 비용이 많이 들어가는 제약·바이오 산업 특성상 투자를 통해 자금을 조달해야 해 비상계엄 후폭풍이 길어질 경우 타격을 입을 가능성이 크다. 바이오 벤처의 경우 투자 없이 신약 개발을 추진하기 어려워 사업 전반에 차질이 생길 수 있다.
비상계엄으로 인해 대통령 직속 '바이오위원회'의 출범 또한 연기되면서 정부 지원 또한 순탄치 않을 가능성이 제기된다.
국가바이오위원회는 보건·의료와 식량, 자원, 에너지, 환경 등 바이오 전 분야에서 국가 경쟁력과 안보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설립된 대통령 직속 민관 합동 기구다. 위원장은 대통령이 맡으며, 부위원장에는 바이오 분야의 석학인 이상엽 한국과학기술원(KAIST) 부총장이 내정됐다.
업계는 국가바이오위원회가 산업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했지만 대통령의 탄핵표결안이 국회에 재상정될 상황에서 시일 내 위원회가 출범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규제 산업인 제약·바이오 특성상 투자자 측면에서 미래에 불확실성을 가지고 적극적으로 투자에 나서긴 쉽지 않아 비상계엄 사태가 부정적인 요인으로 작용할 것 같다"며 "정부 예산이 오늘 중으로 확정된다고 하지만 기업들이 체감할 정도의 순탄한 지원책이 마련될지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여기에 국내 바이오 업계의 수혜로 지목됐던 미국 생물보안법 연내 통과가 불발되면서 바이오의약품 위탁생산개발(CDMO) 기업들의 수혜 여부도 희미해졌다.
생물보안법은 2025 회계연도 국방수권법(NDAA)에서 제외된 상태다. 해당 법안이 중국 기업인 우시바이오와 우시앱택 등의 활동을 규제하는 것에 대해 일부 민주당 의원들이 반대 의견을 내면서 NDAA에 포함되지 못했다. 향후 또다시 입법 과정을 거쳐야하는 만큼 사실상 연내 통과는 불가능한 상황이다.
앞서 생물보안법 시행에 따라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에스티팜 등 국내 CDMO 기업들이 중국 기업의 빈자리를 채우며 수혜를 입을 것으로 관측됐다.
반면 트럼프 2기 행정부가 1기 때와 마찬가지로 자국의 안보를 위협하는 기업들에 대한 견제 기조를 이어갈 가능성이 높아 생물보안법 입법이 미뤄지더라도 국내 기업이 받는 타격은 크지 않을 것이란 시각도 있다.
한 바이오업계 관계자는 "미국 정부가 중국에 대한 견제 기조를 이어간다면 국내 CDMO 기업에 대한 긍정적인 요인은 계속 작용할 것으로 보고 있다"고 전망했다.
syki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