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 명의 노동자 희생 막을 것"...강력한 입법 추진 의사 밝혀
양경수 위원장 "관세협상은 미국의 조공 강요"...국회 역할 촉구
[미디어펜=김주혜 기자] 정청래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6일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을 방문해 "한 명의 노동자라도 산업재해로 희생되는 일을 막아낼 수 있도록 노동자 작업중지권 확대 입법에 속도를 내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민주노총 교육장에서 열린 정책협의회 인사말을 통해 "내란은 진압되고 정권은 교체됐으나 노동 현장은 아직 크게 바뀐 게 없다"며 "단식과 죽음 등 비참한 현실이 여전히 개선되지 않고 있다는 점을 무겁게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그는 윤석열 정권을 향해 "멸시와 통제, 감시와 억압이 윤석열 정권의 노동 정책 그 자체였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라며 "윤석열 정권에게 노동자란 그저 기업 이익을 위한 도구에 불과했다"고 비판했다.

이어 "노동자와 노동조합은 이재명 정부의 가장 강력한 지지 세력이자 민주당의 영원한 동반자"라며 "노동의 가치가 존중받는 사회를 만드는 것은 민주노총의 목표이자 동시에 이재명 정부와 민주당의 목표"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내란 청산과 사회 대개혁의 목표는 우리 민주당이나 민주노총이나 같다"며 "'민주'라는 공통된 인식을 함께 새겨야 한다"고 덧붙였다.
또한 이재명 정부가 '산재 없는 노동 현장'을 국정 목표로 삼고 있다며 "산재 사망은 미필적 고의 살인"이라고 질타한 이 대통령의 발언을 언급했다.
정 대표는 "내년도 정부 예산안에는 재해·재난 예방과 신속 대응을 위한 예산이 전년 대비 1조 8000억 원 증액된 5조 5000억 원으로 편성됐다"며 "근로감독관 2000명 증원과 일터 지킴이 신설 계획을 당 차원에서 뒷받침하겠다"고 약속했다.
주요 입법 과제로는 ▲일하는 모든 사람의 일터 권리 보장을 위한 기본법 제정, ▲노동자 추정 제도 도입 ▲초기업 교섭 활성화, ▲노동자 작업중지권 확대 등을 이재명 정부의 국정 과제로 확정한 만큼 적극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교원과 공무원의 정치 기본권 보장, 법정 정년의 65세 단계적 연장에도 개인적으로 깊이 공감한다고 했다.
한편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노동자들이 현장에서 죽지 않도록 입법에 최선을 다해달라"며 "내란 세력 청산과 사회 대개혁이라는 광장의 요구를 실질적으로 구체화할 때"라고 말했다.
양 위원장은 한미 관세협상에 대해 "미국의 조공 강요"라며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맞설 국회의 역할을 촉구하기도 했다.
이에 정 대표는 "트럼프에 대해 말씀하셨는데 각자의 위치에서 각자의 목소리를 내는 애국심이 중요하지 않겠느냐"고 답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