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용 "홍장원, 국정원장 공관서 메모 썼다고 주장…CCTV 확인하니 청사 사무실에 있었어"
"보좌관, 체포조 메모 정서는 맞아…홍장원 보좌관에 '메모 다시 써 달라' 요청해 세번째 메모"
"보좌관 메모에 더해 누군가 가필해서 지금 보는 메모까지 총 4가지 메모 있는 셈"
![](https://cdnimage.dailian.co.kr/news/202502/news_1739415961_1461440_m_1.jpeg)
조태용 국가정보원장은 13일 홍장원 전 국정원 1차장이 주장한 '정치인 체포 명단 메모'와 관련해 "사실관계가 다르다"고 증언했다.
조 원장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헌재 대심판정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심판 8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홍 전 차장이 계엄 당시 오후 11시 6분께 국정원장 공관 앞 공터에서 메모를 썼다고 주장했는데, 폐쇄회로(CC)TV로 확인해보니 당시 홍 전차장은 청사 본인 사무실에 있었다"며 이같이 밝혔다.
앞서 홍 전 처장은 지난 4일 5차 변론기일에 증인으로 출석해 여인형 전 국군방첩사령관으로부터 주요 인사 체포자 명단을 당시 국정원장 관사 입구 공터에서 급하게 메모지에 적었고, 이후 보좌관에게 정서를 시켰다고 밝혔다.
홍 전 차장이 최초 메모를 작성한 이후 보좌관에게 그 내용을 옮겨 적게 시켰다는 주장도 사실과 다르다고 반박했다. 조 원장은 "홍 전 차장 본인이 메모를 하나 썼고 그것을 보좌관에게 줬다고 했는데 해당 보좌관을 찾아 상황을 확인해보니 12월 3일 밤 홍 전 차장이 보좌관에게 포스트잇 메모를 하나 줬고 보좌관이 이를 정서한 건 맞다"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12월 4일 오후 다시 홍 전 차장이 같은 보좌관에게 '네가 기억나는대로 다시 한 번 써달라'고 했다고 하고, 그 보좌관은 기억을 더듬어 메모를 다시 썼다고 한다"며 "세 번째 메모가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메모를 썼을 때 보좌관 설명이 '파란 펜으로 사람 이름만 썼다'는 것"이라며 "그 메모에 더해 누군가 가필해서 지금 보는 메모까지 총 4가지 메모가 있는 셈"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윤 대통령 측이 "가필되는 과정에서 메모 명단이 조작 혹은 다른 의도로 끼워넣어졌다고 생각하는가"라고 묻자 조 원장은 "홍 전 차장의 메모와 증언 신뢰성에 대해서 강한 의문을 가진다"고 말했다.
한편 이날 윤 대통령은 조 원장을 직접 신문에 나서려고 했으나, 문형배 헌법재판소장 권한대행에 의해 제지됐다. 문 권한대행은 "평의를 종합한 결과 불공정 재판이 될 우려가 있었다. 피청구인이 국정 최고책임자여서 산하에 있는 증인들에게 영향을 행사할 수 있어 직접 신문보다는 서면으로 하는 것이 좋겠다"며 "규정을 바꾸길 원하면 나가서 다시 의결해 보겠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