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공공기관인 한국마약퇴치운동본부가 고질적인 인력 유출을 줄이기 위해 임금 인상을 결정했지만 정작 상위직급 연봉이 30% 이상 상승한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실무자급 퇴사율은 22%에 달한다.
식품의약품안전처가 산하기관 마약퇴치운동본부를 종합감사한 결과, 센터장과 팀장 이상 상위직급(1~3급)의 연봉인상률이 33~37%에 달했다.
반면 대리 이하 4~6급 연봉은 8~15%에 오르는 데 그쳤다. 6급의 경우 8%로 가장 낮았으며 3급과 비교하면 4분의 1에도 못 미치는 연봉상승률이었다.
마약퇴치운동본부는 대리 이하 직원들의 유출이 심각한 상황이다. 지난해 4~6급 퇴사율은 22.2%로 5명 중 1명은 조직을 떠났다. 이에 지난해 6월 '임직원 인건비 현실화 계획'을 세웠지만 정작 3급 이상 간부직들이 재원을 차지했다.
자체 규정에도 '하후상박' 원칙을 적용하게 돼 있지만 지켜지지 않았다. 식약처는 기관주의 처분을 내리고 임직원 연봉 결정 관련 업무를 철저히 하기 바란다고 주문했다.
이와 별개로 직원들의 도덕적 해이 행위가 적발됐다. 외부 강의를 나가면 신고하게 돼 있지만 19명이 미신고, 지연 신고로 행동강령을 위반했다. 강의 사례금을 기준금액을 초과해 수령한 경우도 있었다. 그런데도 마약퇴치운동본부는 지난 2022년 1월부터 약 3년 동안 임직원의 외부 강의 실태를 파악하지 않고 있었다.
서미화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자체 보수규정도 무시하며 상후하박으로 연봉을 결정해 고위직들의 배만 불린 책임을 물어야 한다"며 "상위기관인 식약처이 제도 개선을 통해 마약 퇴치 전문인력의 이탈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