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네릭 무관세 유지, 바이오시밀러는 불확실
제약바이오협회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미국이 한국 의약품에 최혜국대우(MFN) 수준인 15%의 관세율을 적용하기로 합의하면서 국내 제약·바이오 업계가 한숨을 돌렸다. 당초 200%까지 거론됐던 관세율이 크게 완화되며 대미(對美) 수출 불확실성이 일부 해소됐다.
30일 업계에 따르면 한·미 양국은 전날 경주 아시아태평양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열린 정상회담에서 의약품을 포함한 주요 품목의 관세율 조정에 합의했다. 이에 따라 미국으로 수출되는 국내 의약품은 일본·유럽 등과 마찬가지로 최혜국대우 수준인 15%의 관세율을 적용받게 됐다. 제네릭(복제약)에는 무관세를 유지하기로 했다.

제약·바이오 업계는 이번 협상에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미국의 보호무역 강화로 의약품 관세 불확실성이 지속된 가운데, 이달 초 "미국 내에 의약품 공장을 짓지 않으면 최대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는 경고가 나오기도 했기 때문이다.
이에 미국으로 뇌전증 신약을 수출하는 SK바이오팜은 미국령 푸에르토리코에 생산시설을 확보했다. 셀트리온은 미국 뉴저지에 있는 일라이릴리의 바이오의약품 공장을 인수했다. 바이오의약품 위탁개발생산(CDMO) 사업을 영위하는 롯데바이오로직스는 미국 시러큐스 생산시설을 거점으로 글로벌 시장 공략에 나서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협상을 환영하면서도, 바이오시밀러에 대한 관세 부과 여부가 아직 결정되지 않아 상황을 예의주시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국내 기업 중에는 셀트리온과 삼성바이오에피스가 바이오시밀러 사업에 주력하고 있다.
정윤택 제약산업전략연구원장은 "미국 수출 규모가 큰 바이오시밀러의 관세 부과율이 어떻게 책정될지가 관건"이라며 "미국 내 이해관계자들 사이에서는 트럼프 1기 때처럼 바이오시밀러 무관세 유지를 주장하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이어 "미국의 약가 인하 정책 기조를 감안할 때, 바이오시밀러에 관세를 부과하는 것은 오리지널 의약품과 동일한 접근으로 정책 취지에 맞지 않는다"며 "바이오시밀러 역시 제네릭과 마찬가지로 무관세 적용 또는 낮은 관세율 부과 가능성이 있다"고 전망했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는 이번 협상을 "의미 있는 성과"라고 평가했다. 협회는 이날 논평을 통해 "제네릭 의약품의 무관세 유지와 함께 최혜국대우를 확보함으로써, 여타 주요국 대비 불리하지 않은 관세 조건을 보장받게 됐다"며 "이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밝혔다.
다만 협회는 "국내 기업들의 주요 수출 품목인 바이오시밀러의 무관세 적용 여부가 여전히 불분명한 만큼, 이에 대해서도 무관세 혜택이 유지되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단기적으로 관세 리스크는 해소됐지만, 미국 정부의 약가 인하 정책과 '리쇼어링'(미국 내 생산시설 이전) 기조가 지속될 경우 국내 업계에 비용 전가 등 간접적인 부담이 확산될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한 업계 관계자는 "관세 이슈보다 약가 정책과 생산기지 이전 흐름이 더 큰 변수가 될 수 있다"며 "기업은 사업 특성에 맞게 전략적으로 대응하고, 정부 역시 산업 구조 변화에 맞춘 정책적 대응을 고민해야 한다"고 말했다.
sykim@newspim.com


![[사설] 한·미 관세협상 타결 다행, 韓 원자력 주권 진전도 기대](https://img.segye.com/content/image/2025/10/29/2025102952180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