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동안 전례 없고 임기 아직 남아
시민단체 “기록물 신뢰성 훼손”
행정안전부 대통령기록관이 윤석열 전 대통령 기록물 이관을 위한 현장점검에 착수한 가운데 대통령기록관장이 교체될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일고 있다.
행안부 등에 따르면 대통령기록관은 9일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국가도서관위원회 등 대통령기록물 생산기관에 대한 현장점검에 착수했다. 대통령기록관 측은 민주평통에 기록물 이관 절차, 전자 기록의 안정적인 이관 방안 등을 안내하고 도서관위와는 기록물 이관 일정 등을 논의했다.

대통령기록관 측은 14일까지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10일), 국가물관리위원회·2050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11일) 등에 대한 현장점검을 벌일 예정이다.
한편 대통령기록관장 교체 작업이 진행되고 있어 논란이 예상된다. 기록관리단체협의회, 투명사회를 위한 정보공개센터 등에 따르면 정부는 이동혁 대통령기록관장 후임자 선임 절차에 착수했다. 서류·면접 심사를 거쳐 최종 후보자 2명에 대한 신원 조사, 고위 공무원단 역량 평가 등이 이뤄지고 있다.
이 관장은 2023년 11월 부임해 임기(5년)가 남아 있다. 그간 대통령기록물 이관 작업 과정에서 관장이 바뀐 전례도 없다.
시민단체는 이날 정부서울청사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명 중 한 명이 대통령실 출신 인사”라며 “윤석열정부의 실무 담당자였던 인사가 대통령기록관장에 임명될 경우 중요 국가 기록물의 온전한 보존과 관리, 시민의 알 권리가 위협받을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어 “과거 이명박·박근혜정부에서 기록 은폐와 유출 전력이 있는 인사가 기록관장이 되는 것은 국가기록 관리의 신뢰성을 근본적으로 훼손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와 관련해 행안부 관계자는 “이 관장이 퇴직 전 일반직 공무원이 받는 교육을 신청한 것으로 안다”며 “후보자 2명에 대한 신원 조사와 역량 평가가 진행되고 있으나 누구인지 알 수 없다”고 말했다.
박진영 기자 jyp@segye.com
[ⓒ 세계일보 & Segye.com,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