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앙극장 앞’ 버스정류장

2025-10-20

기자 초년 시절, 정동에서 강남으로 취재를 갈 때면 명동 ‘중앙극장 앞 백병원’ 정류장에서 버스를 갈아탔다. 당시 ‘중앙시네마’ 간판을 달고 있던 중앙극장은 역사가 깊은 영화관이었다. 2000년대 멀티플렉스 영화관들이 들어서기 전까지만 해도 충무로 일대 극장들과 함께 양질의 한국 영화를 상영하며 관객을 끌어모았고 시사회도 자주 열었다. 단관에서 5개관까지 상영관이 늘어나며 일부 상영관을 ‘스폰지하우스’와 ‘인디스페이스’에 대여하기도 했다.

중앙극장은 극장을 운영하던 벽산건설의 유동성 위기로 2010년 문을 닫은 후 한동안 비어 있었다. 주인 없는 영화관은 먼지 쌓인 채 빛이 바래져 갔지만 여전히 ‘중앙극장 앞’을 알리는 버스 안내방송이 나올 때면 언젠가 어두컴컴한 간판에 번쩍 다시 불이 켜질 것 같은 기분이 들었다. 하지만 그런 일은 일어나지 않았다. 폐건물이 헐리고 2016년 대신증권 본사 건물이 들어서며 정류장 이름은 ‘남대문세무서·국가인권위원회’로 바뀌었다. 요즘도 명동에서 버스를 갈아탈 때면 예전 정류장 이름을 떠올리며 흔적도 없이 사라진 영화관을 생각한다.

영화관의 폐관 소식은 마음 한구석을 서걱거리게 한다. 얼마 전엔 CGV 명동역 씨네라이브러리와 개관한 지 6년밖에 되지 않은 메가박스 성수점이 문을 닫는다는 소식이 들려왔다. CGV는 지난 13일 홈페이지를 통해 “명동 씨네라이브러리는 2025년 10월29일 수요일을 마지막으로 영업을 종료한다”고 전했다. 명동 씨네라이브러리는 영화 전문 도서관과 아트하우스를 운영한 곳으로 수많은 예술영화를 상영하며 영화 애호가들에게 사랑받는 곳이었다. 2022년에도 한 차례 영업을 중단할 뻔했으나 이후로 3년 더 운영을 이어왔다.

팬데믹 이후 줄어든 관객이 아직 이전 수준을 회복하지 못한 데다 온라인동영상서비스(OTT)의 강세로 극장으로 향하는 발길이 줄어들며 대형 극장들조차 경영난을 타개하기 쉽지 않은 상황이다. CGV는 올해 들어서만 12개 지점을 폐점했다. 순천·목포·송파·연수역·파주야당·창원·광주터미널 등 전국 곳곳의 극장이 문을 닫았다. 영화진흥위원회가 발표한 ‘2025년 상반기 한국 영화산업 결산’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극장 매출액은 4079억원, 관객 수는 4250만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각각 33.2%, 32.5% 감소했다.

대기업의 멀티플렉스 영화관들마저 수익성 악화로 상영관을 줄이는 가운데 예술영화관들의 하루하루는 더 위태롭다. 연간 60~80편의 독립영화가 만들어지고 100편 이상의 해외영화가 수입되지만 그 영화를 상영할 예술영화관은 전국에 50여개밖에 되지 않는다. 대부분의 예술영화관은 여러 차례 폐관 위기를 겪으며 소명의식을 갖고 버텨온 기간이 길다. 2000년 개관 후 국내 예술영화 붐을 일으켰던 광화문 씨네큐브는 2009년 폐관 위기를 넘어 명맥을 유지하고 있다.

극장이 어려워질수록 관객들의 선택의 폭은 줄어든다. 흥행이 보장되는 상업영화에만 투자가 몰리기 때문이다. 비싼 티켓 가격과 대작 부진 등 관객들을 영화관으로 부를 유인책도 현재로선 요원하다. 언젠가 문을 닫았던 극장에 불이 켜지고 버스정류장에 영화관 이름이 붙는 것은 어느 영화 속에서만 일어날 수 있는 일일까.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