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은행‧위즈돔 등과 생태계 구축 업무협약 체결

【에너지타임즈】 SK이노베이션 E&S(사장 추형욱)가 신한은행을 비롯해 통근버스 플랫폼 기업인 위즈돔 등과 전세버스 운수사업자 수소버스 전환에 대한 금융을 지원하기로 하고 19일 지속 가능한 수소 모빌리티 생태계 구축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 협약이 체결됨에 따라 이들은 전세버스 사업자를 대상으로 수소버스 구매금융 지원과 탄소 저감 컨설팅, 수소 충전 지원, 연료 대금 외상결제 지원 등에 협력하는 한편 수소버스 전환 확산을 유도하게 된다.
최근 주요 기업이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을 위한 무공해차 활용 차원에서 수소 통근버스 도입을 추진했으나 통근버스를 제공하는 전세버스 사업자는 높은 수소버스 구매비용 부담으로 수소버스 전환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먼저 신한은행은 위즈돔과 계약한 운수업자에 대해 수소버스와 신용보증기금 보증서, 통근버스 운송채권 등을 담보로 버스 구매자금 대출을 실행하는 체계를 구축해 정책금융과 연계한 저금리 버스 구매를 돕게 된다.
SK E&S는 이 과정에서 수소버스 전환을 원하는 운수업자를 대상으로 탄소 저감 컨설팅을 지원하고, 수소 연료의 원활한 공급과 연료 대금의 외상결제 등을 지원한다.
소유섭 SK이노베이션 E&S 수소마케팅실장은 “수소버스는 충전속도와 주행거리 측면에서 강점이 있다”고 언급하면서 “통근 전세버스의 수소버스 전환 시 탄소 감축은 물론 시민들의 삶의 질 개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한편 SK E&S는 지난해 준공한 인천액화수소플랜트에서 액화수소를 생산하고 있고, 자회사인 SK플러그하이버스‧운수사 등과 협력해 전국에 구축한 액화수소충전소를 통해 수소버스에 연료를 안정적으로 공급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