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진' 미얀마 만달레이에 영사 파견…"교민 피해 아직 없어"

2025-03-30

외교부가 미얀마 강진으로 피해를 본 교민 지원을 위해 양곤 소재 주미얀마 대사관의 영사를 만달레이로 파견했다. 진앙에서 가까운 만달레이에는 교민 70여명이 머무르고 있는데 파견된 영사는 생필품 제공 등 필요한 영사 조력을 제공할 예정이다.

외교부는 30일 "미얀마와 태국의 관련 당국과 한인 사회 등을 통해 한국인 피해 여부를 파악하고 있다"며 "현재까지 접수된 우리 국민 인명 피해는 없다"고 설명했다. 미얀마에는 교민 2000여명이 거주 중인 것으로 파악된다. 최대 도시 양곤에 1700여 명이 거주 중이며, 진앙과 약 33㎞ 떨어져 영사가 급파된 만달레이에 70여 명이 있다. 또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본 태국에 있는 교민은 방콕에 1만 2000여 명을 포함해 총 2만여 명이다.

전날 외교부는 미얀마에 약 30억원 규모로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겠다고 발표했다. 외교부는 "미얀마에서 발생한 지진 피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우선 국제기구를 통해 200만 달러 규모의 인도적 지원을 제공하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는데 추가 지원 가능성도 열려 있다고 한다. 외교부 당국자는 "피해 상황을 긴밀히 모니터링해 필요시 추가적인 지원을 검토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실제 각국은 구호의 손길을 내밀고 있다. 그간 미얀마 군사정권과 선을 그어온 미국과 유럽연합 등 서방도 지원 의사를 밝혔다. 해외 원조를 담당하던 미국 국제개발처(USAID)를 사실상 폐쇄했던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28일(현지시간) "우리는 도울 것"이라고 밝혔다. 우르줄라 폰데어라이엔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은 이날 엑스(X·옛 트위터)에 "더 많은 지원을 할 준비가 됐다"고 밝혔다. 유엔(UN)도 500만 달러(73억원) 규모의 1차 긴급 지원에 나섰고 추가로 피해 규모와 인도적 지원 범위를 파악하고 있다.

미얀마 군정과 우호적 관계인 중국과 러시아는 의료진과 구조대를 현지에 파견하며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다.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은 29일 미얀마 군정 수장인 민 아웅 흘라잉 최고 사령관에게 애도를 표하며 "중국은 미얀마에 필요한 도움을 제공하고 피해 지역 주민들이 재해를 빨리 극복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는 위로 전문을 보냈다. 말레이시아, 싱가포르, 인도 등 주변국도 미얀마에 구호품과 구조 인력을 파견했다.

미얀마는 군부 쿠데타 이후 약 4년간 내전이 이어지면서, 기반 시설과 의료 체계가 이미 붕괴된 상태다. 여기에 인터넷과 소셜미디어(SNS)까지 광범위하게 차단돼 사상자 수색과 피해 복구에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일각에선 군부가 장악한 미얀마에 대한 지원의 실효성을 담보할 방안이 필요하다는 목소리도 나오는 가운데, 한국 역시 구조대 파견 등 추가 지원 수위를 놓고 서방의 대응을 살펴보며 고심하고 있다. 미국 뉴욕타임스는 28일 군부가 국제사회 구호를 방해할 가능성을 거론하며 미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 마이클 마틴 연구원을 인용해 "군부가 반군 통제 하 지역보다 자신들이 통제하는 지역에 더 많은 지원이 가도록 유도하려 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정치적으로 복잡한 상황으로 인해 국제 지원이 가로막힐 여지가 크고 취약 계층은 더욱 위험에 노출된다"고 뉴욕타임스는 분석했다.

한편 다음달 3~4일 벨기에 브뤼셀 나토 본부에서 열리는 북대서양조약기구(NATO·나토) 외교장관회의에 한국이 4년 연속으로 초청받은 것으로 확인됐다. 나토 관계자는 한국을 포함해 일본, 호주, 뉴질랜드 등 나토의 인도·태평양 파트너 4개국(IP4)이 초대됐다고 밝혔다.

조태열 외교부 장관의 참석은 아직 확정되지 않았지만 가능성이 크다고 한다. 참석 시 조 장관은 북·러 군사협력에 대한 한국의 우려를 표명하고 미국, 일본 등과 양자 회담을 진행할 수 있다. 마코 루비오 미 국무장관은 참석이 유력하며 이와야 다케시(岩屋毅) 외상도 참석을 검토 중이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