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자동차와 HD현대중공업이 임금 및 단체협상에서 '정년 연장'문제를 핵심 쟁점으로 다루며 울산 산업계는 다시 한번 깊은 사회적 과제를 마주하게 됐다.
고령화는 더 이상 미래의 이야기가 아니며, 국민연금 수령 연령은 이미 현실적으로 늦춰지고 있다. 이 변화의 흐름 속에서 정년 연장은 단지 한 직장이나 한 시기의 협상에 한정된 문제가 아니다.
노동계는 생계 보장과 고용 안정성을 근거로 ‘만 64세까지의 정년 연장’을 요구하며 국민연금 수령 전 퇴직하는 고령 근로자들은 연금 사각지대에 놓이며, 이는 사회 전반 복지 부담으로 이어져 가고 있는 상황이다.
반면 사측은 청년 고용 위축과 인건비 증가라는 현실적인 부담을 호소한다. 특히 제조업과 조선업은 인건비 구조와 세대교체의 균형이 기업 경쟁력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
정치권 역시 이 흐름에 주목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정년 유연화’와 ‘계속고용제’를 제안하며 탄력적인 고용 구조를 모색하고 있고, 더불어민주당은 단계적인 정년 연장을 통해 노사 간 거리를 좁히려 한다. 단순히 법과 제도의 정비를 넘어, 사회적 합의와 창의적 해법이 슬기롭게 가야 할 시점이다.
정년 연장은 울산의 협상 테이블에서만 논의되는 문제가 아니다. 대한민국 전체가 고령화 시대로 진입한 지금, 이 사안은 곧 모든 산업현장의 과제가 된다. 고령자도 일할 수 있는 환경, 청년도 진입 가능한 시장이 공존하는 구조, 그것이야말로 ‘지속가능한 고용’의 출발점이 될 것이다.
[저작권자ⓒ 울산종합일보. 무단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