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획] 프레임에 갇힌 사람들…허위정보확산 사이클 멈출 ‘트랩’은

2025-04-16

4·16 세월호, 10·29 이태원, 12·29 제주항공 참사까지 지난 11년간 수백 명의 목숨을 앗아간 국가적 참사 뒤에는 늘 ‘음모론·가짜뉴스’ 등이 뒤따랐다. 한순간 가족을 잃은 유족과 생존자들은 상실감을 온전히 받아들이기도 전에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와 끝나지 않는 싸움을 이어가야만 했던 것이다. 경기신문은 ‘허위조작 정보 확산 먹이사슬’을 통해 끊임없이 반복·재생산되는 프레임에 갇힌 당사자들을 조명하고 원인과 해결방법을 살펴본다. [편집자주]

▶글 싣는 순서

① 진실 뒤로한 피해자 향한 ‘주홍글씨’

② 여론을 움직이는 공직자의 ‘말’

③ 허위정보확산 사이클 멈출 ‘트랩’은

<끝>

4·16 세월호, 10·29 이태원, 12·29 제주항공 참사 등 국가적 대형 참사 뒤에는 어김없이 사고 조작 음모론과 같은 가짜뉴스가 횡행했다.

가짜뉴스는 다양한 형태로 참사 희생자와 유가족, 생존자 등 당사자를 향한 2차 가해로 이어졌는데 중심에는 ‘허위 조작 정보 확산 먹이사슬’이 작용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허위 조작 정보 확산 먹이사슬’은 쉽게 말해 영원히 멈추지 않는 소용돌이와 같다.

크게 ▲정치인 ▲언론 ▲유튜브 ▲온라인 커뮤니티 ▲일반시민 등 5개의 주체가 ‘생산자→확산자→믿는자’의 구조로 순환하며 2차 가해와 같은 사회적 효과를 발생시키고 있다.

서복경 더가능연구소 대표는 “가짜뉴스 안에는 미스인포메이션(Misinformation)과 디스인포메이션(Disinformation)이 있다. 미스인포메이션은 사실관계 중 몇 가지 오류가 있는 것이라면 디스인포메이션은 누군가 작정하고 만들어낸 거짓 정보”라고 설명했다.

디스인포메이션 ‘생산자’는 명백한 목적을 위해 정보를 생산한다는 것이 특징이다. ‘확산자’의 경우 디스인포메이션 생산자와 같이 이득을 추구하기 위한 그룹이 있는 한편 목적성 없이 확산에 기여하는 그룹 등 2가지로 나뉜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믿는자’다. 허위 조작 정보 확산은 생산자나 확산자의 단계에서 소멸할 수 있으나, 믿는자의 집단이 그룹을 형성하기 시작하면 사회 전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다.

이태원참사 희생자 고(故) 이주영 작가 아버지 이정민 씨는 “전혀 근거 없는 사실을 정치인들은 언론에 말하고, 언론은 그걸 받아 사실관계 확인 없이 그대로 보도해 버리니 한 번 그렇게 나간 이야기에 대한 사람들의 인식을 바꾸기는 굉장히 힘들고 쉽지 않다”고 말했다.

서 대표는 “이미 생산된 허위 조작 정보는 다양한 형태로 박제돼 완전히 소멸되긴 어려우나 현실적으로 확산 속도를 늦추게 하는 ‘트랩’을 설치해 피해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우선 생산자가 넓게 포진된 SNS·온라인커뮤니티의 초기 확산을 자제시켜야 한다는 것이다.

운영사 자체적으로 허위 조작 정보를 걸러내는 내부 시스템을 구축하게 하고 이를 어길 시 법적인 책임을 부과하는 방식이다.

언론사는 자체적 윤리기준을 세워야 한다. ‘따옴표 보도’를 지양하는 한편 명백히 허위 정보임을 인지하고 보도를 한 경우 작성자를 처벌하게 해 자정작용을 기르도록 하는 것이다.

정치인의 발언에는 직접적인 책임을 묻는다. 단 국회에서 발언할 경우 면책 특권이 생기므로 적어도 국고보조금을 받는 정당은 윤리 심사·징계프로세스를 통해 징계받도록 요구해야 한다.

무엇보다 국가적 재난 참사 당사자들을 향한 2차 가해를 초기에 막을 수 있는 가장 확실한 방법은 정부의 초기 대응 방식이다.

서 대표는 “정부 부처나 기관이 (참사 발생 초기에) 책임을 인정하면 허위 조작 정보가 만들어질 여지가 아주 차단된다”며 “그러나 정부가 ‘우리 잘못인지 아닌지 조사해 봐야 안다’고 시일을 끌수록 허위 조작 정보가 만들어질 수 있는 여지를 주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 대표는 “그런데 모든 사회적 참사가 100% 정부 책임만은 아니지 않나. 중요한 것은 잘못된 정보 확산 전에 정부가 신뢰할 수 있는 공적 정보를 빨리 생산해 주는 것이 핵심”이라고 강조했다.

[ 경기신문 = 김한별·임혜림 기자 ]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