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관세 전쟁’ 불똥이 ‘틱톡 빅딜’에도 튀었다.
중국 소셜미디어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 매각 협상이 지난 4일(현지시간) 최종 합의를 앞두고 중국 정부 반발로 중단됐다고 AP통신, CNN방송 등 현지 매체가 보도했다.
보도를 종합하면 틱톡의 미국 사업권을 미국 기업들이 확보하는 협상안이 마련됐지만, 미국의 상호관세 부과에 반발한 중국이 반대하고 나서면서 상황이 바뀌었다. 지난 2일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 추가 34%의 상호관세를 부과한다고 발표했다. 바이트댄스 측은 지난 3일 미·중 간 관세 협상이 열릴 때까지 협상을 중단한다고 백악관에 통보한 것으로 전해졌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4일 이른바 ‘틱톡 금지법’의 시행을 75일간 추가 유예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그는 이날 SNS에 글을 올려 “우리 정부는 틱톡을 구하기 위한 거래를 성사시키기 위해 매우 노력했고 큰 진전을 이뤘다”며 “(틱톡) 거래는 필요한 모든 승인이 이뤄질 때까지 더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지난해 4월 미 연방 의회가 통과시킨 틱톡 금지법은 틱톡의 미국 내 사업권을 미국 기업에 매각하지 않을 경우 미국 내 서비스를 금지한다는 내용을 담고 있다. 틱톡의 모기업인 바이트댄스가 미국 이용자들의 개인정보를 수집해 중국으로 넘길 수 있어 안보에 위협이 된다는 이유에서다. 미국의 틱톡 이용자는 인구 절반인 1억7000만명에 이른다.
바이트댄스가 매각을 거부하면서 지난 1월19일 미국에서 틱톡 서비스가 잠시 중단됐으나 이튿날 취임한 트럼프 대통령이 매각 시한을 4월5일로 연장시켰다. 트럼프 대통령은 “많은 기업이 틱톡 인수에 관심이 있다”며 기한 내 매각에 자신감을 보였지만 자신이 불지핀 관세 전쟁으로 협상이 물 건너가게 됐다. CNN은 “미·중 간 무역 전쟁이 격화하는 상황에 협상이 지연되면서 틱톡의 장기적 미래에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평가했다.
일각에선 이번 기한 연장이 트럼프 대통령의 전략이란 분석도 나온다. 애널리스트 제러미 골드먼은 “시간을 끌고 협상력을 확보하며 긴장감을 계속 유지한다. 무엇보다 틱톡이 틱톡을 노리는 이들의 눈에 띄게 한다”며 “틱톡이 불확실한 상태에 있는 한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중국과 관계에서 협상 카드로 계속 활용할 수 있다”고 CNN에 밝혔다. 실제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달 중국이 틱톡 매각에 협조할 경우 관세를 인하해줄 수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