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리된 걸 데우기만 했는데, 이 가격에 판다고?"…결국 논란 터졌다

2025-09-16

단골식당에서 요리를 사 먹었는데, 알고 보니 이미 조리가 끝난 제품을 데우기만 한 것이라면 어떨까?

손님에게 제공한 음식이 주방에서 직접 조리한 것인지, 이미 조리된 제품을 데우기만 한 것인지 식당 측이 알려야 하는가를 두고 중국 현지에서 뜨거운 논쟁이 불붙었다. 중국 관영 매체들이 해당 논란에 주목하면서 중국 당국이 조만간 관련 규정에 대한 의견을 내놓을 전망이다.

15일(현지시간) 인민일보 계열의 영자지 글로벌타임스는 '미리 조리된 음식이 뜨거운 논쟁을 불러일으키다'라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해 최근 불거진 '위즈차이'(預製菜) 논란을 다뤘다. ‘위즈차이'란 반제품 또는 완제품으로 만든 간편식을 뜻하는데, 원가 절감, 조리 시간 단축, 테이블 회전율 상승 등의 장점 때문에, 중국 내 외식업계에 빠르게 자리잡았다.

보도에 따르면 논란은 이달 10일 인플루언서 뤄융하오가 중국의 유명 식당 체인인 시베이의 요리들이 거의 ‘위즈차이’이면서도 가격이 너무 비싸다고 저격하면서부터 촉발됐다. 이에 시베이의 창업자인 자궈룽은 즉시 이를 부인하면서 국가 규정에 따르면 시베이 식당들에서 만든 어느 요리도 위즈차이가 아니라고 해명했다.

중국 사회에서는 이미 조리된 형태로 식당 측이 제공받아 데우거나 익히는 과정만을 거쳐 내놓은 ‘위즈차이’에 대한 위생과 안전성이 담보되지 않는다는 지적이 꾸준히 제기돼왔다.

앞서 이달 13일 신화통신도 ‘위즈차이’ 논란을 다루며 간편식 요리가 논란이 된 배경에는 소비자의 알 권리에 대한 관심과 외식의 품질 개선에 대한 요구가 있다고 짚었다. 비위생적인 환경에서 조리된 제품을 데우기만 해서 내놓는 경우 소비자의 불안을 초래할 수 있다는 지적이다.

특히 일부 매장에서는 직접 조리한다는 안내 문구를 내걸어놓고도 실은 전자레인지를 이용해 데우거나 익히기만 하는 것으로 확인돼 소비자 권익이 침해된다고 덧붙였다.

중국중앙TV(CCTV)도 이달 14일 '도대체 무엇이 위즈차이인가? 6개 부문은 명확히 밝힌 바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내고 논란의 핵심인 간편식 요리의 식품안전 감독 강화 방법을 제시했다. 식품 첨가물 사용을 제한하고 반제품 또는 완제품을 생산하는 업계의 진입 문턱을 높이는 등 엄격히 관리할 것 등이 거론됐다.

중국 관영 매체들이 해당 논란을 일제히 보도한 가운데 중국 당국은 조만간 관련 규정에 대한 의견을 수렴할 것으로 전해졌다. 중국 현지매체 제일재경은 관계자의 전언을 인용해 국가위생건강위원회가 주도한 위즈차이 관련 국가식품안전표준 초안이 전문가 심사를 통과했으며, 의견 수렴을 위해 조만간 공개될 예정이라고 보도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