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냥 AI는 한물 갔다" 실리콘밸리 '초지능 AI'에 올인

2025-11-13

"노벨상 수상자 능가할 AI 만든다"

업계가 내세운 청사진에 일부 "신기루" 회의론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실리콘밸리가 또 한 번 패러다임 전환에 나서고 있다

12일(현지시간) 야후 파이낸스는 실리콘밸리 주요 인공지능(AI) 기업들 사이에서 AI를 넘어 범용 인공지능(AGI)마저도 식상한 개념이 되고 있다면서, 이제는 기업들이 인간 전문가를 능가하는 '초지능(superintelligence) AI' 개발에 올인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특히 오픈AI, 마이크로소프트, 메타, 앤스로픽 등 주요 AI 기업들이 대부분의 인간보다 뛰어난 능력을 가진 '초지능 AI'의 미래를 향해 경쟁적으로 달려가고 있다고 강조했다.

다만 초지능 AI 실현 시점과 기술적 의미는 여전히 불투명하며, 과장된 기대 속에서 미래를 선점하기 위한 경쟁만이 점점 더 치열해지고 있다는 지적도 뒤따른다.

◆ "노벨상 수상자를 뛰어넘는 AI 만들자"

실리콘밸리 AI 기업들은 '노벨상 수상자보다 뛰어난 AI'를 선보이겠다는 장밋빛 미래를 제시하고 있다.

앤스로픽의 다리오 아모데이 CEO는 여러 분야에서 노벨상 수상자를 능가할 만큼 뛰어난 AI를 개발하겠다는 포부를 밝혔으며, 그러한 AI는 미해결 수학 정리 증명, 고급 소설 집필, 복잡한 코드베이스까지 구현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메타의 마크 저커버그 CEO 또한 '개인용 초지능' 시대가 오면, 사람들이 스스로 선택한 방향으로 세상을 변화시키는 '개인 역량 강화'의 새 장이 열릴 것이라 강조했다.

이와 함께, 마이크로소프트는 공식적으로 'MAI 슈퍼인텔리전스 팀'을 신설하며 AI 초지능 경쟁이 현실로 다가오고 있음을 알렸다.

AI 업계의 낙관론자들은 챗GPT를 필두로 한 고도화된 언어모델이 복잡한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AGI(인공일반지능)를 거쳐 곧 초지능의 시대로 발전할 것이라고 주장한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CEO는 2026년에는 AI가 스스로 혁신적 통찰을 발견하고, 2027년에는 실제 환경에서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로봇이 등장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앤스로픽의 아모데이 역시 2026년 AGI 도달 가능성을 언급했지만, 여전히 그 예측에는 조심스러운 입장을 유지했다.

◆ 모호한 '초지능'…과장된 신기루 일수도

이처럼 기술 기업들이 초지능 AI 개발 경쟁에 뛰어들며 투자자와 언론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사이에서는 기술적 실현 가능성과 개념적 모호성을 이유로 기업들의 장밋빛 전망을 경계해야 한다는 경고음도 나오고 있다.

우선 초지능 개념은 여전히 불명확하다는 지적이다.

코넬대 존 락스튼 교수는 "사람마다 의미가 다르고, 기술이 빠르게 진화하고 있어 지나치게 확신하는 것은 오만"이라고 지적했다.

현재 AI가 특정 과제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것은 사실이지만, 이는 '특화된 초지능'일뿐 범용 초지능과는 거리가 멀다는 설명이다.

스탠퍼드대 제임스 랜데이 교수는 "초지능은 물론 AGI조차 과대 포장된 개념"이라며 "목표 기준을 계속 바꾸며 실제 가능성을 약화시키고 있다"고 비판했다.

코넬대 락스튼 교수 역시 "알파고처럼 특정 분야에서 인간을 능가하는 AI가 존재하지만, 다양한 영역에서 스스로 사고하는 범용 AI는 아직 요원하다"고 강조했다.

랜데이 교수는 "초지능 담론은 대규모 데이터 센터 건설과 투자 유치를 위한 마케팅 수단"이라며, 향후 2~10년 안에 실제 기술 수준이 기업들의 기대에 도달할 가능성은 낮다고 분석했다.

kwonjiun@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