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근길에서도, 퇴근길에서도. 온·오프라인에서 화제가 되고 있는 다양한 이슈를 풀어드립니다. 사실 전달을 넘어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인 의미도 함께 담아냅니다. 세상의 모든 이슈, 풀어주리! <편집자주>
“아빠, 모르는 아저씨가 아빠 친구라며 집에 찾아왔는데 맞아?”
"노숙자가 집에 찾아왔는데 일단 침대에 누웠어."
최근 전 세계적으로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서 급속히 확산 중인 ‘AI Homeless Man Prank(일명 AIPRANK)’ 영상의 대표 대사다.
이 밈은 생성형 인공지능(AI)을 이용해 집 배경 사진에 노숙자 남성의 이미지를 합성한 뒤 부모나 가족에게 “집에 낯선 사람이 들어왔다"고 메시지를 보내는 방식의 장난이다. 놀란 부모의 반응이 화제를 모았고, 불과 열흘 만에 수억 회의 조회수를 기록하며 전 세계적인 유행으로 번졌다.
이른바 'AI 장난(AIprank)'로 불리는 이 밈은 특히 한국에서도 ‘엄마속이기’, ‘아빠속이기’ 등으로 불리며 국내 SNS를 중심으로 빠르게 확산되고 있다.
“AI가 만든 침입자”…스냅챗서 시작해 제미나이로 진화
‘AIPRANK’ 밈은 스냅챗 플러스(Snapchat Plus)의 AI 사진 편집 기능에서 처음 등장한 것으로 추정된다. 유료 구독자가 집 사진을 찍은 뒤 AI 편집으로 낯선 인물을 자연스럽게 합성하는 방식이다.
이후 구글의 생성형 AI 챗봇 ‘제미나이(Gemini)’의 이미지 생성 기능이 활용되면서 합성 이미지의 사실감이 한층 높아졌다. 결국 ‘#AIPRANK’ 해시태그를 축으로 AI 합성 장난 문화가 하나의 글로벌 놀이 트렌드로 자리 잡았다.

이 밈의 시작은 지난달 26일 한 틱톡커가 자신의 어머니와 나눈 메시지를 공개하면서다. 그는 "낯선 노숙자가 방에 길을 잃었다고 말했는데, 잠시 머물러도 되냐고 물었다"는 문자와 함께 놀란 표정의 낯선 남성이 방 안에 서 있는 합성 사진을 전송했다.
어머니는 "당장 문 잠가. 위험해. 그래도 네가 친절하게 대해줘서 다행이지만 큰일 날 뻔했다"고 답했고, 해당 영상은 일주일 만에 7만7000회 조회됐다.
다음날 또 다른 틱톡커는 아버지와의 대화를 공개했다. "모르는 노숙인 남성이 내 방에 들어왔어, 무서워"라는 메시지와 함께 하얀색 비닐봉지를 든 낯선 남성이 방 문 앞에 서 있는 이미지를 보냈고 아머지는 "지금 전화해! 당장 친구 부르고 문 잠궈!"라며 다급히 반응했다. 해당 영상은 6일 만에 190만 조회수를 기록하며 화제가 됐다.
이들은 영상 설명에 "엄마 사랑해", "아빠 미안해, 사랑해"라는 문구를 덧붙였다.
영국에선 경찰 실제 출동…“장난도 선을 넘었다”
하지만 이런 ‘AI 장난’이 실제 사회적 혼란으로 이어진 사례도 등장했다.
최근 BBC에 따르면 영국 도싯(Dorset)에서는 한 10대 소녀가 부모에게 "이 남자가 우리 집에 들어왔는데 나가길 거부하고 있다"는 메시지와 함께 AI 이미지를 보냈고, 놀란 부모가 경찰에 신고해 긴급 출동하는 소동이 벌어졌다.
경찰은 "실제 긴급 상황에 투입될 수 있었던 귀중한 자원들을 사용했다"며 "친구나 가족으로부터 비슷한 메시지를 받으면 신고 전에 먼저 장난 여부를 확인해 달라"고 당부했다.
미국 워싱턴주 오크 하버 고등학교(Oak Harbor)에서도 학교 주변을 노숙자가 배회하고 있다는 SNS 게시물이 퍼졌지만 AI 조작 이미지로 드러났다.
이를 접한 일부 누리꾼들은 "이러한 트렌드는 잠재적인 피해를 초래하고, 노숙자에 대한 편견을 강화한다", "AI 기술을 허위 정보 확산의 도구로 전락시킬 위험이 있다"는 비판이 제기되고 있다.
영국에서 이미 실제 신고 사태가 발생한 만큼 국내에서도 유사한 오인 신고나 사회적 혼란이 발생하지 않으리란 보장은 없다.
‘AIPRANK' 열풍 속...제미나이 트래픽 급등
‘AIPRANK’가 확산된 시기와 맞물려 제미나이의 트래픽도 급증세를 보였다.
시장조사업체 시밀러웹에 따르면 제미나이의 지난 달 월간 방문자 수는 11억 명으로 전월 대비 46% 증가했다. 트래픽 점유율 역시 지난 달 초 9.1%에서 이달 3일 기준 13.7%로 상승했다.
반면 오픈AI의 '챗GPT'는 같은 기간 78%에서 73.8%로 하락했고, 중국의 생성형 AI 모델 '딥시크'는 4%에서 3.9%로 소폭 감소했다.
제미나이의 급성장은 단순한 인기도 상승을 넘어 오픈AI의 내부 정책 변화와도 맞물려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오픈AI는 최근 'GPT-5 인스턴트'라는 별도 모델을 도입해 사용자가 스트레스나 불안 상태로 판단될 경우 자동 전환하는 기능을 적용했다.
이 조치는 위기 대응과 아동 보호를 위한 목적이지만, 일부 유료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대화가 조금만 민감해도 보호 모드로 바뀌어 흐름이 끊긴다"는 불만이 제기됐다. 이러한 안전모드 논란이 제미나이로의 사용자 이동을 부추겼다는 해석이다.
그럼에도 챗GPT의 충성도는 여전히 압도적이다. 시밀러웹 분석에 따르면 챗GPT 이용자의 82.2%는 다른 생성형 AI 서비스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 챗GPT만 이용하는 단독 사용자로 나타났다.
충성도 지표에서 제미나이는 49.1%로 2위를 차지했으며 일론 머스크의 xAI 그록(35.6%), AI 검색엔진 퍼플렉시티(33.1%), 앤트로픽의 클로드(18%)가 뒤를 이었다.
시밀러웹은 "제미나이의 트래픽 증가세가 뚜렷하지만 여전히 챗GPT가 생성형 AI 시장의 중심에 있다"고 분석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