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인공지능(AI) 시대 인재 양성을 위해 디지털 문해력과 AI 기초역량 강화가 필요하다며 초·중·고부터 대학·평생교육에 이러는 패러다임 변화를 강조했다. 장관 후보자 지명 후 제기된 논문 표절 의혹은 정면 돌파를, 자녀 조기유학 논란에 대해서는 사과를 택했다.
이 후보자는 16일 국회 인사청문회 모두발언에서 “우리나라가 인공지능(AI) 3강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초·중·고 단계부터 디지털 문해력과 AI 기초역량을 강화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대학에서 AI 전문 인재와 융합인재 등 다양한 층위의 인재를 체계적으로 양성할 수 있도록 교육 생태계를 조성하겠다”며 “AI 시대에 진정으로 필요한 생각하는 힘, 질문하는 능력, 인간다운 상상력을 키우는 인문학 교육을 확대하고 시민 교육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 후보자는 청문회에서 그 동안 제기된 논문 표절 의혹에 대해 적극적으로 해명했다. 그는 “논문 표절 논란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며 “2007년부터 총장 임용되기 직전까지 100편의 논문을 충남대에서 외부 전문가들과 검증해 유사율 10% 미만 판정을 받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국민검증단 등에서 카피킬러로 도린 내용은 신뢰할 수 없다”며 “카피킬러는 자료가 겹칠 때마다 유사율이 높아지지만 전문가는 이를 다 제외한다. 언론에 나오는 것은 학계의 상황을 이해하지 못한 상황에서 나온 결론이라고 말씀드린다”고 반박했다.
이 후보자 본인을 제1저자로 올려 학생의 논문을 가로챘다는 의혹에 대해서도 “이공계 공동연구자들끼리는 논문 작성 기여도에 따라 제1저자를 결정한다”고 해명했다.
이 후보자는 “대부분의 이공계 논문은 지도교수가 수주해 온 국가과제나 연구과제로 수행되며, 학생들은 세부과제를 본인의 학위 논문으로 발전시키는 게 일반적인 순서”라며 “'지도교수와 대학원생 간 기여도를 고려해 1저자를 결정해야 한다'는 게 연구재단의 지침”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저의 경우 제자와 같이 공동 연구한 논문에서 1저자로 오른 경우는 전체의 30% 정도”라고 덧붙였다.
두 딸의 조기유학과 관련해서는 “국민께 송구한 마음을 금할 수 없다”며 사죄했다. 특히 이 후보자의 차녀는 중학교 3학년 1학기를 마치고 유학을 택해 의무교육 기간을 지키지 않았다는 비판이 제기됐다. 이 후보자는 “아이들이 미국에서 공부하기를 강력하게 희망해 청을 들어줬다”며 “(차녀 유학은) 불법인지조차 알지 못했고, 큰 실수였다”고 말했다.
최다현 기자 da2109@etnew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