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귀찮아서 양치 안했는데"…치과 안가면 '이병'까지 이어진다는 연구 결과, 왜?

2025-10-25

뇌졸중 예방을 위해선 건강한 식단과 규칙적 운동, 금연, 절주가 필수로 꼽혀왔다. 여기에 치아 관리라는 새로운 예방 요소가 주목받고 있다. 구강 건강을 소홀히 할 경우 허혈성 뇌졸중 발병 위험이 최대 86%까지 치솟는다는 대규모 추적 연구 결과가 나왔다.

미국 사우스캐롤라이나대 수브닉 센 박사 연구팀은 뇌졸중 병력이 없는 평균 63세 성인 5986명을 대상으로 구강 상태를 평가하고 20년간 추적 관찰한 결과를 국제학술지 《신경학(Neurology)》에 발표했다. 연구진은 참가자들을 구강 건강 양호군(1640명), 잇몸질환군(3151명), 잇몸질환·충치 복합군(1195명) 등 세 그룹으로 분류해 뇌졸중 발생률을 비교했다.

분석 결과, 구강 건강이 양호한 그룹의 뇌졸중 발생률은 4%에 그쳤지만, 잇몸질환군은 7%, 잇몸질환과 충치를 모두 앓는 복합군은 10%로 집계됐다. 연령, 체질량지수, 흡연 등 주요 변수를 보정한 뒤에도 복합군의 뇌졸중 위험은 양호군 대비 86% 높았고, 잇몸질환군도 44% 높은 것으로 확인됐다. 심장마비 등 주요 심혈관질환 위험 역시 복합군에서 36% 증가했다.

허혈성 뇌졸중은 혈전이나 혈관 폐색으로 뇌 혈류가 차단돼 산소와 영양 공급이 중단되면서 발생하는 가장 흔한 뇌졸중 유형이다. 충치는 플라크 속 세균이 생성한 산이 치아 법랑질을 부식시켜 생기며, 당분 과다 섭취와 구강 위생 불량, 유전적 요인이 주된 원인으로 꼽힌다. 잇몸질환 또한 구강 관리 미흡으로 발생하며, 잇몸과 턱뼈에 염증과 감염을 일으켜 치아 상실까지 초래할 수 있다.

센 박사는 "충치와 잇몸질환을 동시에 앓는 경우 심혈관 위험 요인을 감안해도 뇌졸중 위험이 거의 2배에 달했다"며 "구강 건강 관리가 뇌졸중 예방 전략의 핵심 축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고 말했다. 연구에서는 정기적인 치과 검진이 예방 효과를 높이는 것으로도 나타났다. 정기 검진을 받은 사람들은 잇몸질환과 충치 동시 발병 확률이 81%, 잇몸질환 발생 확률이 29% 낮았다.

센 박사는 "치아와 잇몸 관리는 단지 외모를 위한 것이 아니다"라며 "구강 건강이 곧 뇌 건강과 연결되는 만큼, 충치나 잇몸 이상 징후가 보이면 치과 치료를 통해 적극 대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