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니엘예고 사태에 무용계 성명, "예술고 운영 실태 점검해야"

2025-08-07

부산 브니엘예술고교 여고생 3명이 숨진채 발견된 사건과 관련 무용인들이 정부에 예술고등학교 운용 실태 점검 및 대학 무용과 입시 제도 개편을 요구하고 나섰다.

무용 관련 대학교수, 안무가, 평론가 등이 포함된 ‘대한민국 무용교육 개혁을 촉구하는 무용인 일동’은 7일 ‘대한민국 무용교육 개혁을 위한 대정부 촉구’ 성명서를 발표했다.

이들은 “브니엘예고 학생들의 희생은 단지 개인 차원이 아닌, 해묵은 무용계의 오랜 악습과 부조리, 기득권의 탐욕이 부른 ‘사회적 타살’로 간주한다”라고 밝혔다.

이어 “무용 아카데미즘은 학령 인구의 저하로 침체기에 놓여있고, 인재 양성의 견인차가 된 무용 콩쿠르는 본래의 기능과 역할에서 벗어나 왜곡, 변질됐다”라며 “불공정한 예술 지원 체계는 무용 현장의 양극화를 초래하고 무용 공동체의 생태계를 위협하며, 나아가 이권 카르텔 조성의 ‘검은 씨앗’의 되고 있다는 점에서 문제의 심각성이 크다”라고 지적했다.

무용인들은 “대한민국 무용인은 오늘의 사태에 대하여 스스로 사회적 책임을 통감하며, 무용공동체의 통렬한 반성과 성찰을 요구한다”라며 “정부 당국인 교육부, 문화체육관광부, 한국문화예술위원회 등은 기존 무용교육의 제도 및 정책을 지탱해온 60년 시스템을 전면 재구조화하고 근본적인 개혁 방안 마련에 적극 나설 것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강조했다.

이들은 구체적으로 무용과 입시제도 개편 등의 방안을 제시했다. ▶예술고등학교 운영 실태 점검 및 대학 무용과 입시제도 전면 개편 ▶무용강습회·무용콩쿠르 운영 실태 조사 및 감독기구 설치 ▶무용 콩쿠르 공정성·투명성 강화 및 병역특례제도 전면 재검토 ▶무용입시·무용콩쿠르 불공정 신고 센터 및 심리 치유센터 설치 ▶무용분야 국가보조금 지원 실태조사 및 공정한 예술지원 체계 마련 ▶무용입시 및 콩쿠르(작품) 레슨비 표준단가 및 거래실명제 실시 등이다.

이번 성명에는 김숙자 대한민국예술원 회원, 하정애 전 국립현대무용단 이사장, 김복희 전 한국무용협회 이사장 등 무용계 관련 인사 49명이 동참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