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화재 해법 찾는다] 〈1〉지난해 EV 10만대당 화재 건수, 내연차보다 20% 적었다

2025-04-27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탄소중립 목표 달성을 위해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전환이 가속화하고 있다. 동시에 지난해 8월 인천 청라 아파트 지하 주차장에 발생한 전기차 화재로 인한 '전기차 포비아(공포증)'는 아직도 꺼지지 않고 있다. 대한민국의 높은 인구밀도와 지하주차장 중심의 주거 환경으로 인해 전기차 화재가 대형 재난으로 이어질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이다. 본지는 전기차 화재 현황 분석, 기술적 대응, 정부 정책, 표준화 동향을 심층 탐구하는 특집기사를 4회에 걸쳐 연재한다.

본지가 환경부·소방청으로부터 단독 입수한 최근 6년 전기차와 내연차(전기·수소·태양광 제외) 화재건수·등록대수 분석 결과 지난해 전기차 10만대 당 화재 건수는 등록차량 기준 총 11.89건으로 내연차(14.95건)보다 20.47% 적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해 화재 사고 감소폭 또한 전기차가 내연차보다 컸다. 전기차 10만대 당 화재는 2022년 13.88건에서 2023년 11.35건으로 18.23%(2.53건) 감소했고, 내연차의 경우는 2022년 14.61건에서 2023년 14.47건으로 0.96%(0.14건) 줄어드는데 그쳤다.

지난해 차량 화재 절대 건수를 비교해도 전기차는 총 73건으로 전년(72건)과 1.39%(1건) 소폭 늘어났다. 전기차 보급대수는 68만4244대로 전년(54만3900대) 보다 25.80%(14만344대) 급증했지만 화재건수는 사실상 동일했다.

반면 지난해 내연차(전기·수소·태양열 제외) 화재는 총 3811건으로 전년(3656건) 대비 4.40%(155건) 증가했다. 내연차 보급대수는 2557만5744대로 전년(2537만1042대) 보다 0.81%(20만4702대) 늘었고, 화재건수도 소폭 상승했다.

◇전기차 감소 추세 지속…“올해 1분기 30%대 급감”

지난해까지 이어온 전기차 화재 감소추세는 올해에도 지속되는 양상이다.

올해 1분기 국내 등록된 전기차 10만대당 화재건수(추정)는 전년 동기 대비 30.80% 급감했다. 지난해 전년대비 31.19% 줄어든 후 30%대 감소세를 2년 연속 이었다.

반면 1분기 내연차 10만대당 화재건수는 전년 동기 보다 3.45% 증가했다. 지난해 전년대비 1.66% 감소했다가 다시 늘어났다.

올해 1분기 국내 전기차 화재건수 또한 14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12.5% 감소했다. 2023년 17건에서 2024년 16건으로 감소한 후 2년 연속 줄었다.

반면 1분기 내연차 화재건수는 893건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3% 증가했다. 2023년 863건, 2024년 860건으로 소폭(3건) 감소한 후 동일 한 수준으로 감소해 2년 전 수준과 같아졌다.

◇전기차 화재 재산피해 증가추세…“단일 건당 피해규모 커”

전기차 화재건수가 감소세에 있지만, 대한민국의 높은 인구밀도와 지하주차장 중심의 주거 환경으로 인해 대형 재난으로 이어지다보니 전기차 화재로 인한 재산 피해규모는 오히려 증가하고 있다. 단일 사고당 피해규모가 큰 것으로 풀이된다.

지난해 전기차 화재 재산피해액은 55억6541억원으로 전년(14억6398만원)대비 3배 가량(41억143만원) 급증했다. 2019년 2억7002만원에서 2020년 3억6074만원, 2021년 8억7808만원, 2022년 9억1336만원 등 꾸준히 증가하고 있다.

내연차(전기 외)의 경우 재산피해 규모가 증감을 반복하고 있다. 지난해 재산피해액은 321억3763만원으로 전년(306억2337만원)대비 15억원 가량 늘었다. 2019년 239억7127만원에서 2020년 254억9626만원, 2021년 242억703만원, 2022년 631억9070만원을 기록하며 등락을 거듭하고 있다.

◇“전기차 화재, 소화보다 예방에 집중해야”

전문가들은 전기차 화재는 소방도 중요하지만 스마트제어 충전기, 전기차배터리관리시스템(BMS) 등 예방 인프라 보급 확대에 집중하는 동시에 기존 차량들에 진단 기술을 고도화해야 피해 규모를 줄일 수 있다고 제안했다.

한세경 경북대 교수는 “전기차 화재는 단일 사고당 피해 규모가 크기 때문에 단순한 통계만으로는 경각심을 늦춰서는 안 된다”며 “특히 제조사는 브랜드 이미지나 법적 책임과 맞물려 이상 징후를 적극적으로 알리기 어려운 구조에 있기 때문에, 소비자 스스로도 차량 상태를 객관적으로 파악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이어 “최근 환경부가 스마트제어 충전기 보급 확대, 구형 차량에 대한 BMS 업데이트 등의 정책을 통해 화재 예방 인프라를 강화하려는 방향은 바람직하다”면서 “그러나 신차 중심의 정책만으로는 부족하다. 이미 도로 위를 달리고 있는 차량들에 대한 진단 기술의 확산과 공동체 차원의 위험 감시 체계, 예를 들면 아파트 단위의 공동관제 시스템 도입 같은 접근이 병행돼야 실질적 예방 효과가 가능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이준희 기자 jhlee@etnews.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