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립운동 구심점 된 대한민국임시정부…4월의 독립운동 선정

2025-03-31

국가보훈부는 일본 제국의 국권 침탈과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하고 민주공화국을 완성하기 위해 오늘날 대한민국의 토대가 된 ‘대한민국임시정부 수립’을 2025년 4월의 독립운동으로 선정했다고 31일 밝혔다.

보훈부에 따르면 일제의 국권 침탈과 식민 통치로부터 독립하고자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서 수립된 임시정부는 민주공화제를 천명하고 국민의 자유권과 평등권을 명시하는 등 하나의 독립운동 단체가 아닌 독립 국가의 정부로서 역할을 선포했다.

임시정부는 수립 이후 1919년 말 육군무관학교를 설립하고 미국에서 윌로우스 한인비행사양성소를 설립했고, 1930년대에는 중국 각지의 군관학교에 한인 청년들을 보내는 등 무관 양성에 힘을 썼다.

또 한인애국단을 조직해 의열투쟁을 전개하고 이봉창 의사와 윤봉길 의사의 의거를 지원하는 등 수많은 항일 독립투쟁을 벌였다. 1940년 9월 17일에는 한국광복군을 창설해 미국 전략첩보국(OSS)과 합작하여 국내 진입 작전을 추진하는 등 연합국과도 공동작전을 벌였다.

국제회의에 참여해 한국의 독립을 호소하고 세계 각국으로부터 정부 승인을 얻기 위한 외교 운동은 물론 1943년 카이로 선언을 통해 대한민국 독립이 명문화되는 성과를 뒷받침하는 등 민족 독립운동의 구심점이 됐다.

임시정부 산하에 독립신문을 발간하는 독립신문사와 한일관계사료집을 편찬한 임시사료편찬회 등도 만들었고, 이들 자료는 오늘날 독립운동사 연구의 주요한 사료로 활용되고 있다.

특히 임시정부가 선포한 ‘대한민국 임시헌장 제1조 대한민국은 민주공화제로 한다’는 제헌헌법을 거쳐 현행 헌법에도 계승되고 있고, 헌법 전문은 대한민국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고 있음을 명시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