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이소 가면 이건 무조건 사야 돼" 난리나더니…결국 편의점까지 번졌다

2025-11-25

국내 건강기능식품 시장이 저가 경쟁을 앞세운 유통업계의 공세로 반등에 성공했다. 다이소가 시작한 균일가 전략이 편의점으로 확산되면서 소비자들의 합리적 소비 욕구를 자극한 결과다.

24일 한국건강기능식품협회에 따르면 올해 건기식 시장 규모는 5조9626억원으로 추산됐다. 전년보다 0.2% 성장한 수치다. 2022년 6조1498억원을 찍은 뒤 2년 연속 역성장하던 시장이 다시 커지기 시작한 것이다. 업계는 다이소와 편의점 등이 올해 본격적으로 건기식 판매에 뛰어들면서 시장이 활기를 되찾았다고 분석한다. 협회 관계자는 "대형마트와 드럭스토어 같은 오프라인 채널 매출이 늘었다"며 "구매자 수는 증가했지만 객단가는 줄어 합리적 소비 추세가 뚜렷하다"고 설명했다.

다이소는 지난 3월 3000원과 5000원짜리 균일가 건기식을 선보이며 시장 공략에 나섰다. 당시 30여종이던 제품군은 최근 90여종으로 늘었고 입점 브랜드도 3개에서 13개로 확대됐다. 편의점 빅3는 하반기부터 경쟁이 치열하다. GS25는 8월부터 5000원 이하 소용량 건기식을 전국 5000여개 매장에 배치했고 올해 누적 판매량 100만개를 돌파했다. CU는 7월 말부터 전국 6000개 매장에서 판매를 시작했는데 9월 24.9%, 10월 22.4%, 11월 41.8%로 매월 전월 대비 매출 증가율이 커지고 있다. 세븐일레븐은 19일 대웅제약과 협력해 3500원대 제품 12종을 내놓으며 가장 늦게 시장에 진입했다.

올리브영은 주 고객층인 젊은 여성을 겨냥한 다이어트·미용 건기식에 집중하는 전략을 택했다. 올해 1~10월 관련 제품 매출이 전년 동기 대비 41% 급증했다. 업계는 소용량·저가 제품 위주의 유통 경쟁이 당분간 이어질 것으로 전망한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