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5명 중 4명은 소형모듈원전(SMR) 개발을 위해 전기요금을 추가 납부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전력 수요와 기후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SMR 기술이 필요하다는 여론이 확산하고 있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정부의 SMR 연구개발(R&D) 예산이 사회적 가치보다 낮아 예산 확대 등 적극적인 행정 추진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15일 이주용 창원대 산업시스템공학부 교수와 조은정 국가녹색기술연구소 연구원이 한국원자력학회에 제출한 논문에 따르면 우리 국민의 78%는 “SMR 기술 개발을 위해 전력산업기반기금 부담금을 더 낼 수 있다”고 응답했다. 이는 전국 성인 남녀 1032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다. 전력산업기반기금은 전력망 구축 재원을 확보하기 위해 설치한 제도로 전기 사용자는 일률적으로 요금의 3.2%를 부담금으로 납부해야 한다.
SMR 개발에 찬성하는 여론은 이보다 더 높을 것으로 보인다. 지불 의사가 없다고 밝힌 응답자 227명 중 SMR 기술에 반대한다는 답변은 16명(7%)에 불과했다. 나머지 응답자는 ‘경제적 여력이 없다(13.7%)’거나 ‘기존 납부액으로 SMR 개발 비용을 대야 한다(49.3%)’는 입장이었다. 이 교수는 “기후변화 문제를 더 심각하게 생각하는 응답자일수록 SMR 기술 개발에 더 많은 돈을 내려는 경향이 있었다”며 “정부가 SMR 기술의 필요성을 적극적으로 알리면 국민 여론도 호의적이 될 여지가 있다”고 설명했다.
정부가 SMR 기술 개발을 위해 투입하기로 한 예산은 국민의 지불 의사로 측정한 SMR의 사회적 가치에도 못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에 따르면 비용 부담 의사가 있는 사람들의 한 가구당 평균 추가 지불 의사는 5588.38원이었다. 한국의 전체 가구 수를 고려하면 전 국민이 매년 SMR 기술 개발에 약 1330억 원을 추가 부담할 의사가 있다고 환산할 수 있다. 반면 정부는 2030년까지 170㎿급 SMR을 상용화하기 위해 향후 5년간 연평균 800억 원을 투입하는 데 그칠 것으로 전망된다. 이 교수는 “정부가 SMR 기술 개발 예산을 지금보다 1.7배 가까이 확대해도 경제적으로 이익이라는 의미”라며 “SMR에 대한 R&D 예산 확대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