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인공지능(AI)을 빼놓고는 비즈니스 화제가 없다. 관세 문제에서도 AI가 논의되고 있다.”
최태원 SK그룹 회장은 28일 경북 경주엑스포대공원에서 열린 ‘퓨처 테크 포럼: AI’에서 AI 생태계 구축을 주제로 한 환영사에서 이같이 말문을 열었다.
최 회장은 세계적으로 AI 데이터센터 수요가 늘고 있지만 반도체부터 에너지까지 모두 병목 현상을 일으키고 있다며 한국이 이를 해결할 시험대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한국은 새롭고 빠르게 적응하는 스피드를 발휘해 병목을 풀어낼 것”이라며 “이는 과거에 한국이 인터넷이나 모바일 역사에서 이미 증명해냈던 일로, AI 역시 한국에서 가장 빠르게 확산·진화할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효율적이면서 비용이 적게 드는 AI 모델 개발 등이 필요하다고 최 회장은 진단했다. 특히 미국과 중국이 기술 자립과 전 세계 확산을 목표로 국가 차원의 AI 전략을 세우고 있는 만큼, 한국도 새로운 해법을 찾아야 한다고 내다봤다.
최 회장은 “저희도 투자를 많이 한다고 생각했는데 (다른) 사람들이 이야기하는 것을 들어보면 저희가 투자하는 단위 액수에 ‘0’이 한두 개는 더 붙는 수준으로 속도 경쟁이 아주 치열하다”며 “(투자를) 하는 곳과 안 하는 곳의 격차가 점점 더 벌어져 AI 양극화를 만들 것”이라고 말했다.
글로벌 기업과의 협업 필요성도 강조했다. 최 회장은 “글로벌 플레이어와 협력도 해야 한다”며 “그런 의미에서 아마존웹서비스(AWS)와 SK의 울산 AI 데이터센터 건립이나 오픈AI와의 스타게이트 협력은 대한민국 AI 생태계를 확장하는 또 하나의 기폭제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기술 자립과 신뢰 기반의 협력, 이 두 가지가 병존하는 대한민국을 넘어 많은 APEC(아시아·태평양 지역) 국가가 이런 모델을 레퍼런스(참고)로 볼 만하다고 생각한다”며 “이 두 가지 축을 어떻게 조화롭게 가져갈지가 대한민국뿐 아니라 많은 나라들의 숙제”라고 덧붙였다.
이날 행사에는 하정우 대통령비서실 AI미래기획수석비서관, 맷 가먼 AWS 최고경영자(CEO), 최수연 네이버 대표, 김경훈 오픈AI 코리아 총괄대표, 유영상 SK텔레콤 사장, 사이먼 밀너 메타 부사장 등 AI 업계를 선도하는 국내외 인사들이 연사로 참여해 AI 생태계 발전 방향에 대한 의견을 공유했다.
![[APEC 2025] 경주에 뜬 글로벌 AI 별들…“범국가적 AI 협력 생태계 필요”](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28/news-p.v1.20251028.ccb3a7a9ecf3434da4ddf2b8394c46e3_P1.jpg)
![[기고] 실험실의 성과, 시장의 성공으로](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09/25/news-p.v1.20250925.432656152e5344bbb2a8c51ef9b8a42d_P3.png)

![트럼프에 5500억달러 안긴 日, 미국산 도요타까지 들여온다[글로벌 모닝 브리핑]](https://newsimg.sedaily.com/2025/10/27/2GZC8VNKBL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