칸트 철학의 정신과 방법에 대하여

2024-10-07

올 해가 칸트 탄생(1724.4.22-1804.2.12) 300주년이 되는 해라는군요. 칸트 학회에서도 조만간 칸트를 기념하기 위해 국제 학회를 개최합니다. 한국이 서양철학을 받아들일 때 독일 관념론의 영향을 많이 받았지요. 덕분에 칸트나 헤겔의 이름은 철학을 조금만 아는 사람들도 다 알고 있지요. 하지만 칸트의 철학이 무엇이냐고 물으면 당장 머리에 손을 엊고 골치 아파하지요.

내가 보기에 칸트는 한국적 상황에서 시사하는 바가 큰 철학자라고 봅니다. 단순히 칸트 철학의 특정한 내용이 아니라 그이의 철학적 정신에서는 지금도 배울 바가 크지요. 칸트가 <순수이성비판>의 서문에서 이런 말을 한 적이 있습니다. 어떤 사람이 숫염소의 젖을 짜려고 하니까 젖을 받겠다고 그 밑에 통을 들이 민다고 했지요. 숫염소의 젖을 짜겠다고 하는 것도 황당한데 그런 제스쳐를 보고서 통을 들이민다는 것은 참으로 어불성설이지요. 철학의 많은 문제들, 나아가서는 우리가 살면서 부딪히는 많은 문제들이 칸트가 지적한 사항과 멀지 않은 경우를 알 수 있을 겁니다. 칸트는 자기 수업을 듣는 학생들에게 이런 말을 한 적도 있습니다. "요즘 학생들은 철학 공부는 많이 하지만 참으로 철학은 하지 못한다(nicht philosophieren)." 흔히들 철학은 다른 많은 철학자들의 사상의 내용을 열심히 공부하는 것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하지만 다른 철학자들의 철학에 대해 아무리 많이 안다 하더라도 자신이 직접 철학적 정신을 깨닫고 자신의 철학을 하지 못한다면 공염불에 지나지 않지요. 칸트가 학생들에게 말한 것은 바로 그 점을 이해해야 한다는 것입니다. 칸트의 이런 말은 이 땅의 철학자들에게도 중요한 가르침을 일깨워 주는 것이라 할 수 있습니다. 

칸트가 영국의 경험론과 대륙의 합리론을 종합한 철학자라는 것은 많은 철학도들이 잘 알고 있을 겁니다. 칸트는 데이비드 흄의 경우에서 보듯 경험론이 회의주의라는 막다른 골목에 부닺힌 정황을 비판하고, 마찬가지로 대륙의 합리론자들이 형이상학적 실체론의 문제에 빠져서 독단(dogma)에 그치고 만 현실을 비판합니다. 칸트는 이들 모두를 동시에 비판하면서 자신의 종합의 철학을 개진한 것입니다. 칸트는 과학계에서 유명한 코페르니쿠스의 혁명의 정신을 경험론과 합리론이 부닥친 딜레마 상황을 푸는 데 적용합니다. 잘 알다시피 코페르니쿠스의 이전의 우주론에서는 지구를 중심으로 태양계의 별들이 움직인다고 생각을 했지요. 톨레미의 우주론이지요. 하지만 이 이론의 부정합성이 여러 곳에서 드러나서 제대로 행성들의 운동이 설명되지 않는 부분들이 많았지요. 코페르니쿠스는 이때 관점을 바꿔서 지구가 태양계의 중심이 아니라 지구도 태양을 중심으로 도는 일개 행성이라는 혁명적인 주장을 폈지요. 마찬가지로 칸트도 대상 우선주의에 빠진 경험주의자들의 인식론을 비판할 때 코페르니쿠스적인 전환을 시도합니다. 말하자면 인식 과정에서 경험주의자들이 말하는 대상이 중심이 아니라 인식 주체를 중심으로 하고, 다만 이 인식 주체의 인식은 경험적 직관의 한계를 벗어날 수 없다는 점에서 합리론자들의 형이상학의 한계를 지정해주는 전략을 사용한 것이지.요 이 때 칸트는 경험주의자들의 장점을 가지고 합리론자들을 비판하고, 마찬가지로 합리론자들의 장점을 가지고 경험주의자들을 비판한 것입니다. 칸트의 이런 전법은 딜레마 상황을 벗어날 수 있는 대단한 묘책이라고 볼 수가 있을 겁니다. 나는 칸트의 방법을 보면서 그가 참으로 '현명하다'(clever)고 생각합니다. 풀리지 않는 문제를 가지고 무조건 끙끙거리기 보다는 시점을 완전히 바꿔 버리는 것이고, 동시에 적을 적으로 제압하는 이이제이(以夷制夷)의 논법을 쓴 것은 대단한 발상의 전환이라 할 수 있습니다. 나는 칸트의 이런 비판정신과 방법을 배워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칸트의 3비판서에 담긴 미로와 같은 내용들을 공부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칸트 철학의 밑바탕에 깔려 있는 정신과 사용한 방법을 참으로 이해하는 것이 진정으로 칸트가 지적한 철학함(philosophieren)이라고 할 수가 있지요.

나는 칸트 철학의 정신과 방법을 한국적 상황에도 적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한국인들은 이른바 '진영논리'의 딜레마에 빠져서 엄청난 사회적 갈등과 분열을 경험하고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아주 사소한 문제들도 몇 번 말싸움을 하다 보면 바로 '진영논리'로 에스칼레이팅되지요. 그리고 이런 진영논리에 빠지면 결코 문제를 풀지 못하고 허우적거리는 게 한국의 많은 사람들의 현실이라고 할 수 있을 겁니다. 나는 이 문제를 풀 때 칸트의 묘책을 사용하면 의외로 쉽게 풀릴 수 있다고 생각합니다. 이런 묘책이야말로 철학이 제시해줄 수 있는 지혜(phronesis)라고 할 수가 있지요. 그러면 어떻게 칸트 철학의 정신에 따라 시도해볼 수가 있을까요? 경험주의자들은 우리의 모든 인식이 경험에서 출발한다는 것, 이른바 사회적 사실의 팩트(facts)를 분명히 했지요. 나는 이것이야말로 경험주의자들이 보여줄 수 있는 중요한 철학적 기여라고 생각합니다. 있지도 않은 문제들을 가지고 백날을 싸워도 문제를 풀 수가 없을 겁니다. 대표적으로 신(God)의 존재 여부나 영혼의 불멸성 문제, 세계의 유무한 문제와 같은 형이상학의 문제들이 그렇지요. 경험주의를 완성한 데이비드 흄은 이런 형이상학을 가치없이 비판합니다. 반면 경험적 사실이 중요하다고 하더라도 인간의 인식은 그저 로크가 말한 것처럼 '백지상태'(tabla rasa)로 받아들이는 것은 아니지요. 인간 인식은 합리주의자들이 이야기한 것처럼 a priori(선험적인) 인식의 틀을 가지고 받아들이지요. 칸트가 말한 시공간의 형식과 과학의 12 범주들(categries)도 그런 예라고 보면 좋을 것입니다. 이런 형식과 범주들을 통해 인식 주체는 능동적으로 경험적 직관을 배열하고 정리를 합나디. 다만 범주들은 반드시 경험에 기초한 것이기 때문에 무제약적으로 신과 영혼과 세계와 같은 형이상학적 대상들에 적용할 수가 없습니다. 만약 적용했을 때 빠지는 문제를 칸트는 <순수이성비판>의 '변증론'(Dialektik)에서 여실히 보여주고 있지요. 

마찬가지로 한국사회에서 갈등을 빚는 많은 문제들을 형이상학적 틀을 가지고 보지 않도록 하는 것입니다. 이른바 '이념논쟁' 에 빠지지 않는 것이지요. 팩트 자체에 충실하면 됩니다. 그러면 문제가 쉽게 풀릴 수 있을 겁니다. 다른 한편으로 팩트를 조망하는 인식의 틀도 중요합니다. 이런 틀이 없으면 팩트 자체를 이해하고 해석할 수가 없지요. 다만 이런 틀을 무조건적으로 적용하는 것이 아니라 한계를 지정하도록 노력하는 것이지요. 여기서 칸트 철학이 보여주는 비판적 종합을 시도할 필요가 있습니다. 팩트를 인식 틀로 조명하고, 인식 틀의 한계를 팩트로 지정하는 것입니다. 그렇게 하다 보면 팩트도 필요하고 인식 틀도 필요하며, 마찬가지로 팩트의 한계도 보고 인식 틀의 한계도 보는 것이지요. 그 둘이 가진 각각의 장점을 가지고 상대의 단점을 비판하는 이이제이의 묘책을 사용하는 것입니다. 사실 이렇게 말은 했지만 현실적으로 이해도 잘 안 되고 그 방법도 쉽지 않다고 비난하는 사람들이 있을 겁니다. 최근에 한국에서는 '건국전쟁'이라는 영화를 가지고 논란이 많습니다. 이 영화는 초대 대통령인 이승만에 관한 영화입니다. 이승만은 해방 이후 초대 대통령을 맡았고, 6.25 전쟁 당시 대통령을 지냈고, 그 이후 독재를 하다가 마침내 4.19 혁명으로 대통령을 물러나 미국으로 망명한 인물이지요. 그만큼 그를 둘러싸고 많은 갈등과 논쟁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보수주의자들은 건국의 아버지로 미화하고, 진보주의자들은 그를 학살의 원흉, 독재자로 비난하고 있습니다. 이 양 진영 간의 갈등과 불화는 도저히 해결이 불가능해 보입니다. 그렇다면 이 문제에 대해 칸트의 방법을 적용해보면 어떨까요?

먼저 이승만이라는 역사적 인물이 행한 팩트를 공(功)과 과(過)의 차원에서 분리를 해보지요. 그렇다면 과에서 여러 가지 이승만이 저지른 과들이 나올 겁니다. 마찬가지로 공에서도 그 못지않게 여러 가지들이 나올 수 있습니다. 이러한 공과를 판단할 때 주의할 것은 선험적 틀인 이념으로 모든 것을 환원하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러한 이념 논쟁에 빠지면 정말 문제를 풀 수가 없기 때문이지요. 하지만 어느 정도는 공을 판단하고 과를 판단할 때 이념 문제가 끼여드는 것을 완전히 막을 수는 없을 겁니다. 이때 그 이념을 절대시하지 말고 항상 역사적 맥락과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칸트가 범주를 경험의 한계 내에서 사용할 것을 제안한 정신을 따르는 것이지요. 이때 역사적 공과 과라는 팩트가 중요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보면 무조건 건국의 아버지라고 미화할 필요도 없지만, 이승만 전체를 학살과 독재라는 틀 속에 가두어 둘 필요도 없습니다. 우리는 역사를 항상 실용성과 현실성의 입장에서 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그렇다고 한다면 이승만의 단점도 말할 수 있고, 장점도 말할 수 있을 겁니다. 이승만이 전쟁 전과 전쟁 당시 행한 민간인 학살이나 독재는 쉽게 씻어 버릴 수 없는 과입니다. 반면 이승만이 친미노선을 걸은 것은 아주 큰 장점일 수 있습니다. 이승만은 미국인들보다 더 미국적 정신을 가졌다는 말을 합니다. 철저하게 개인주의와 실용주의, 그리고 반공산주의를 추종했지요. 덕분에 소비에트의 공산주의를 선택한 북한과 달리 남한은 미국식 자본주의를 따랐지요. 획일적으로 판단할 수는 없어도 해방 후 80년 가까이 흐른 지금 시점에서 남북한의 국가 규모나 국력의 차이는 도저히 비교할 수가 없을 정도입니다. 그점에서 우리는 이승만이 아무리 밉더라도 부정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칸트 이야기를 하다가 그의 철학적 정신과 방법을 이해해야 한다고 하면서 한국사회의 진영논리에 까지 이야기가 미쳤습니다. 칸트 철학에 관한 이야기는 다른 철학들에게도 마찬가지라고 생각합니다. 우리는 그 철학의 정신과 방법을 배워야지, 단순히 특정한 철학의 내용만 암기해서는 안 된다고 봅니다. 이 땅의 수많은 철학도들이 칸트를 공부하고 연구를 했지만 칸트의 철학적 정신과 방법을 구현해서 우리 철학의 방법을 정립하는 데는 아직도 갈 길이 멉니다. 우리가 해야 할 '철학함'은 바로 그런 것이 되어야 하지 않을까요? jogel4u@outlook.com

*필자/이종철

철학박사(독립철학자). 연세대학교 인문학연구원. 근간 “철학과 비판” "일상이 철학이다" 등의 저자. 칼럼니스트

*아래는 위 기사를 '구글 번역'으로 번역한 영문 기사의 [전문]입니다. '구글번역'은 이해도 높이기를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영문 번역에 오류가 있을 수 있음을 전제로 합니다.<*The following is [the full text] of the English article translated by 'Google Translate'. 'Google Translate' is working hard to improve understanding. It is assumed that there may be errors in the English translation.>

On the spirit and method of Kant's philosophy

-Dr. Lee Jong-cheol

This year is the 300th anniversary of Kant's birth (April 22, 1724-February 12, 1804). The Kant Society will soon hold an international conference to commemorate Kant. When Korea accepted Western philosophy, it was greatly influenced by German idealism. Thanks to this, even people who know a little about philosophy know the names of Kant and Hegel. However, if you ask them what Kant's philosophy is, they immediately put their hands on their heads and have a headache.

In my opinion, Kant is a philosopher who has great implications for the Korean context. It is not simply the specific content of Kant's philosophy, but his philosophical spirit that we can still learn a lot from. Kant once said this in the preface to his Critique of Pure Reason. He said that when someone tries to milk a goat, he puts a bucket under it to get the milk. It is absurd to say that you will milk a goat, but it is truly absurd to see such a gesture and bring in a bucket. Many problems in philosophy, and even many problems we encounter in our lives, are not far from what Kant pointed out. Kant once said this to his students: "Students these days study philosophy a lot, but they really do not do philosophy (nicht philosophieren)." People often think that philosophy is about diligently studying the thoughts of many other philosophers. However, no matter how much you know about the philosophies of other philosophers, if you do not realize the philosophical spirit yourself and do your own philosophy, it is nothing more than empty talk. What Kant told his students was that they should understand this very point. Kant's words can be said to remind philosophers of an important lesson for philosophers in this country.

Many philosophy students will know that Kant is a philosopher who synthesized British empiricism and continental rationalism. Kant criticized the situation in which empiricism was stuck in a dead end called skepticism, as in the case of David Hume, and similarly criticized the reality in which continental rationalists were caught up in the problem of metaphysical substantialism and ended up in dogma. Kant developed his philosophy of synthesis while simultaneously criticizing all of them. Kant applied the spirit of Copernicus' revolution, famous in the scientific community, to resolve the dilemma between empiricism and rationalism. As you know, the cosmology before Copernicus thought that the stars in the solar system moved around the Earth. This is Ptolemy's cosmology. However, the inconsistencies of this theory were revealed in many places, and there were many parts where the movement of the planets was not properly explained. At this time, Copernicus changed his perspective and made a revolutionary claim that the Earth is not the center of the solar system, but is a planet that revolves around the Sun. Similarly, Kant attempted a Copernican transformation when criticizing the epistemology of empiricists who were caught up in object-first thinking. In other words, in the process of cognition, the empiricists use a strategy that centers on the subject of cognition, not the object of cognition, and that specifies the limits of the metaphysics of rationalists in that the cognition of this subject of cognition cannot go beyond the limits of empirical intuition. At this time, Kant criticized rationalists with the strengths of empiricists, and similarly, he criticized empiricists with the strengths of rationalists. This tactic of Kant can be seen as a great ingenious way to escape a dilemma situation. When I look at Kant's method, I think he is truly 'clever'. Rather than just struggling with an unsolvable problem, he completely changes the perspective, and at the same time, he uses the argument of suppressing the enemy by using barbarians (以夷制夷) to subdue the enemy, which is a great change of thinking. I think we should learn this critical spirit and method of Kant. Studying the labyrinthine contents of Kant's three Critiques is important, but truly understanding the spirit and methods underlying Kant's philosophy is what Kant called philosophieren.

I think that the spirit and methods of Kant's philosophy can be applied to the Korean situation as well. Koreans are experiencing tremendous social conflict and division due to the dilemma of the so-called 'camp logic'. In Korea, even the most trivial issues escalate into 'camp logic' after a few arguments. And if you fall into this camp logic, you will never be able to solve the problem and will just flounder. This is the reality of many Koreans. I think that if you use Kant's clever trick to solve this problem, it will be surprisingly easy. This clever trick is the wisdom (phronesis) that philosophy can provide. So how can we try to follow the spirit of Kant's philosophy? Empiricists made it clear that all of our knowledge originates from experience, the so-called facts of social reality. I think this is the important philosophical contribution that empiricists can make. Even if we fight over problems that do not exist for a hundred days, we will not be able to solve them. Representative examples are metaphysical problems such as the existence of God, the immortality of the soul, and the existence or infinity of the world. David Hume, who perfected empiricism, criticized such metaphysics as worthless. On the other hand, even if empirical facts are important, human cognition does not simply accept them as a 'blank slate' (tabla rasa) as Locke said. Human cognition accepts them with the framework of a priori cognition as rationalists said. The forms of space and time and the 12 categories of science that Kant mentioned are examples of this. Through these forms and categories, the subject of cognition actively arranges and organizes empirical intuition. However, since the categories are necessarily based on experience, they cannot be applied to metaphysical objects such as God, the soul, and the world without restriction. If applied, the problem that is missed is clearly shown by Kant in the 'Dialektik' of the Critique of Pure Reason.

Likewise, we should not view many problems that cause conflict in Korean society through a metaphysical framework. We should not fall into the so-called 'ideological debate'. We should be faithful to the facts themselves. Then the problems will be easily solved. On the other hand, the cognitive framework that views the facts is also important. Without this framework, we cannot understand and interpret the facts themselves. However, we should not unconditionally apply this framework, but try to specify its limits. Here, we need to attempt the critical synthesis that Kant's philosophy shows. We should illuminate the facts with a cognitive framework, and designate the limits of the cognitive framework as facts. In doing so, we need both facts and cognitive frameworks, and we should also see the limits of the facts and the limits of the cognitive framework. We should use Lee's clever strategy of criticizing the shortcomings of the other side by using the respective strengths of each. In fact, although I said this, there will be people who criticize that it is not realistically understandable and that the method is not easy. Recently, there has been a lot of controversy in Korea over the movie 'National Foundation War'. This movie is about the first president, Syngman Rhee. Syngman Rhee served as the first president after liberation, was president during the Korean War, and was a dictator after that. He finally stepped down as president due to the April 19 Revolution and went into exile in the United States. As such, there have been many conflicts and controversies surrounding him. Conservatives glorify him as the father of the nation, and progressives criticize him as the mastermind of massacre and a dictator. The conflict and discord between these two camps seems impossible to resolve. So, what if we apply Kant's method to this problem? First, let's separate the facts of the historical figure Syngman Rhee's actions into merits and demerits. Then, various demerits that Syngman Rhee committed will come out from demerits. Likewise, various demerits can come out from merits as well. When judging these merits and demerits, we must be careful not to reduce everything to the a priori framework of ideology. If we get caught up in this ideological debate, we really can’t solve the problem. However, to some extent, we cannot completely prevent ideological issues from interfering when judging merits and demerits. At this time, we should not regard the ideology as absolute, but always consider the historical context and situation. This is in line with Kant’s suggestion to use categories within the limits of experience. At this time, the fact of historical merits and demerits can be important. From this perspective, there is no need to unconditionally glorify Syngman Rhee as the father of the nation, but there is also no need to confine all of Syngman Rhee to the framework of massacre and dictatorship. I think we need to always view history from the perspective of practicality and reality. If we do that, we can talk about Syngman Rhee’s shortcomings and strengths. The civilian massacres and dictatorship that Syngman Rhee committed before and during the war are not easily washed away. On the other hand, the fact that Syngman Rhee took a pro-American line can be a huge advantage. It is said that Syngman Rhee had a more American spirit than Americans. They thoroughly pursued individualism, pragmatism, and anti-communism. Thanks to this, unlike North Korea, which chose Soviet communism, South Korea followed American-style capitalism. Although it is not possible to make a uniform judgment, the difference in national size and national power between South and North Korea is incomparable at this point, nearly 80 years after liberation. In that sense, I believe that we should not deny Syngman Rhee, no matter how much we hate him.

While talking about Kant, we talked about understanding his philosophical spirit and methods, and the discussion even extended to the logic of the Korean society. I think that the same applies to other philosophies when it comes to Kant’s philosophy. We need to learn the spirit and methods of his philosophy, and not simply memorize the content of a specific philosophy. Many philosophers in this country have studied and researched Kant, but we still have a long way to go before we can implement Kant’s philosophical spirit and methods and establish our own philosophical methods. Shouldn’t the ‘philosophizing’ we should do be like that? jogel4u@outlook.com

*Author/Jong-cheol Lee

Doctor of Philosophy (independent philosopher). Yonsei University Institute of Humanities. Author of “Philosophy and Criticism” and “Everyday Life is Philosophy”. Columnist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