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거 결과 예정된 선거는 정치 후진국에나
나 김두관, 중도 확장성과 본선 필승 후보"

윤석열 전 대통령의 파면으로 조기 대선이 오는 6월 3일 치러지는 것으로 잠정 결정난 가운데, 더불어민주당에서는 비명(비이재명)계 김두관 전 의원이 가장 먼저 출사표를 던졌다. 김 전 의원은 "제7공화국을 여는 개헌 대통령이 되겠다"고 출마의 변을 밝혔다.
김두관 전 의원은 7일 오전 서울 여의도 민주당 중앙당사 당원존에서 열린 기자회견에서 "국민의 뜻이 윤석열 탄핵을 이룬 것처럼, 개헌과 제7공화국도 국민의 뜻으로 이루어지기를 희망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김 전 의원은 "6공화국 대통령 8명 중에 4명이 구속되거나 파면됐으며, 모두가 보수정당 대통령이었다"며 "이제 우리는 제7공화국을 향해 나아가야 한다"고 목소리도 높였다.
그는 경남 남해 이어리 이장을 시작으로 남해군수와 행정안전부 장관, 경남도지사, 두 번의 국회의원 등을 지낸 자신의 이력을 나열하면서 "나의 정치행보는 나를 죽이고 당을 살리는 길"이었다고 자평하기도 했다.
김 전 의원은 "지역주의와 싸우기 위해 경남도지사에 3번 도전하여 당선됐고, 아무도 가지 않으려 한 김포 재보궐에 나갔다. 김포에 터를 잡은 이후 당의 부름을 받아 다시 경남으로 내려갔다"고 언급했다.
이어 "그 과정에서 나 개인의 당선, 승리를 위해 좌고우면 하지 않았다. 민주당이 더 다양한 정당이 돼야 한다는 신념으로 '어대명(어차피 당대표는 이재명)'이라 일컬었던 당대표 선거에도 도전했다"고 회상했다.
또한 그는 "나는 개헌 대통령이라는 이름으로 출마를 결심했다. 제7공화국을 위해 '임기를 2년 단축해야 한다'면 기쁘게 받아드리겠다"면서 "대한민국의 대전환, 국가 대개혁을 위해 분권형 4년 중임제 개헌을 해야 한다"는 점도 강조했다.
또 김 전 의원은 "김두관 정부는 국가경제의 수도권, 대기업 중심의 성장을 분권성장으로 전환해 전국이 함께 잘 사는 나라를 만들겠다"며 "폭망(폭삭 망한) 외교, 시급히 경제외교를 복원해야 한다"고 했다.
이외에도 "하루빨리 한반도 평화교섭의 주도권을 되찾는데 김두관 정부는 최선을 다할 것" "신성장동력, 과학기술 투자에 국운을 걸 것" "전국에 서울대 10개를 만드는 교육 혁신 논의를 시작할 것" 등을 제시했다.
뿐만 아니라 "어대명(어차피 대통령은 이재명) 경선에 왜 출마하느냐 묻는다"며 "어대명 경선으로는 본선승리를 장담할 수 없기에 출마한다"는 목소리도 높였다. 그는 "선거 결과가 예정돼 있는 선거는 정치후진국에나 있는 일"이라고 규정했다.
나아가 "나 김두관은 중도 확장성과 본선 필승 후보이자 민주진보개혁세력, 탄핵찬성세력, 계엄반대세력을 하나로 모을 수 있는 확실한 후보"라고 자임하며 "나의 도전에 많은 국민의 성원을 부탁드린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