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노르웨이가 10일(현지 시간) 노벨평화상 발표를 앞두고 긴장하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자신에게 상을 주라며 노골적으로 노르웨이 노벨위원회를 압박해온 가운데 이를 거부할 경우 외교·경제적 보복이 우려되기 때문이다.
9일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의 차남 에릭 트럼프는 전날 저녁 X(옛 트위터) 팔로워들에게 "(부친이)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생각한다면 리트윗해달라"고 요청했다. 백악관 공식 엑스 계정도 거의 동시에 트럼프 대통령 사진을 게시하며 그를 "평화 대통령"이라고 칭했다. 가족과 백악관이 나서기 전부터 트럼프 대통령은 자신이 노벨평화상을 받을 자격이 있다고 공개적으로 주장하며 노르웨이 관계자들에게 직접 전화를 거는 등 압박을 가해왔다.
블룸버그는 트럼프 대통령의 이 같은 압박이 이스라엘과 하마스 간 휴전·평화 협상 가능성으로 더 가속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의 수상 불발 시 발생할 외교·경제적 후폭풍에 대한 노르웨이 내 우려와 긴장감이 커지고 있다고 보도했다.
그러나 이런 압박은 수상자 결정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못할 것으로 보인다. 예르겐 바트네 프뤼드네스 노르웨이 노벨위원회 위원장은 현지 매체 VG와 인터뷰에서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가 지난 6일 이미 결정됐다고 밝혔다. 그는 공영방송 NRK와 인터뷰에서도 중동 평화 협상 문제는 내년 수상자 선정 심사에 고려될 것이라고 언급했다. 이는 사실상 트럼프 대통령의 올해 수상이 어려울 것임을 시사한 것으로도 해석된다. 특히 올해 노벨평화상 후보가 트럼프 대통령의 백악관 복귀 직후인 1월 31일 마감됐다는 점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주장해 온 '재집권 후 7개 전쟁의 평화 중재 및 종식' 업적은 올해 수상자 선정에 반영되지 못했을 것으로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 측은 그러나 버락 오바마 전 대통령이 취임 불과 몇 달 만인 2009년 노벨평화상을 수상한 점을 들어 수상이 가능하다는 입장을 내세우고 있다.
에스펜 바르트 에이데 노르웨이 외무장관 역시 정부가 노벨상 결정에 개입하지 않는다고 거듭 강조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노르웨이 정부는 트럼프 대통령의 노벨평화상 수상 불발이 자국 경제에 미칠 영향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노르웨이는 현재 미국과 무역협상중이며, 미국으로의 수출품에 부과되는 15% 관세 인하를 희망한다. 세실리에 뮈르세트 통상장관은 이번 주 워싱턴 DC에서 미국 관계자들을 만날 예정이다.
노르웨이의 또 다른 우려는 2조 달러 규모의 국부펀드라고 블룸버그는 전했다. 이 펀드의 투자 자산 중 약 40%가 미국에 집중돼 있는 만큼 트럼프 대통령이 이 펀드를 표적으로 삼을 수 있다는 불안감이 제기되고 있다.
올해 노벨평화상 수상자는 10일 발표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