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철강맨' 김경식 고철연구소장 인터뷰
"중국산 철강, 원가 장점에 품질·납기 준수 대등한 수준"
"정부의 철강업 시각도 변해...필수산업 혁신 전략 필수"
[서울=뉴스핌] 김승현 조수빈 기자 = "중국산 철강에 핑계를 대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철강산업이 사양 산업일지는 몰라도 (한국 철강 기업들이) 사양 기업은 되지 않아야 합니다"
우리나라 산업화의 '선봉장'이었던 철강산업이 긴 어둠의 터널을 지나고 있다. 중국의 저가 물량 공세에 대항하는 것만으로도 벅찬 현실에서 '미국 우선주의'를 내세우며 당선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철강업에 대한 '관세 폭탄'은 현실화 됐다.
![](https://img.newspim.com/news/2025/02/11/2502111504252410_w.jpg)
이러한 상황에서 뉴스핌은 '30년 철강맨'으로 일선에서 활동했고 현재도 철강업계에서 꾸준히 목소리를 내고 있는 김경식 ESG네트워크 대표 겸 고철연구소장을 만나 한국 철강업의 현재와 위기 극복 방안에 대해 들었다.
김 대표는 현대제철 대외협력실장(이사), 경영기획실장·정책조정실장(상무), 기획본부장(전무)를 역임했고 퇴임 후에는 ESG 경영과 탄소중립 연구 등 활발한 연구·강의·기고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서울 종로구 혜화동 사무실에서 만난 김 대표는 우선 철강업의 특징에 대해 "공급이 수요를 창출하지 못하는 산업으로 대규모 투자가 수반되다 보니 암묵적인 진입 장벽이 있고 독과점적인 산업이다. 그리고 철강 제품은 제품 차별화가 거의 없다"고 말했다.
이어 중국발 위기에 대해 "초기에 중국산이 가진 결정적인 장점은 원가밖에 없었다. 품질과 딜리버리(납기 준수)가 안 좋았는데 이제는 품질과 딜리버리도 거의 다 따라왔다"고 말했다.
김 대표는 "그러다보니 예전에는 원가 하나만 밀렸는데 이제는 품질과 딜리버리가 대등한 수준이 되니 (한국 철강업이) 어려워질 수밖에 없다"며 "옛날처럼 사이클 상의 일시적 위기가 아니라 패러다임의 변화"라고 진단했다.
이어 "우리 철강이 여기까지 올 수 있었던 건 주원료의 국제표준원가에 따라 움직였는데 친환경으로 가면서, 소위 비대칭 원가로 가며 산업 및 제품 경쟁력 강화 방안 모색의 필요성이 커졌다"고 강조했다.
![](https://img.newspim.com/news/2023/11/29/2311290936462260.jpg)
즉, 한국 철강업의 어려움의 원인으로 중국산 저가 공세가 지목되고 있지만 이는 일부일 뿐이며 저가 때문에 우리 철강업이 경쟁력을 잃었다고 단정지을 수 없다는 뼈아픈 지적이다. 또한 한국 정부가 철강업을 보는 시각도 달라졌다는 점을 인지해야 한다는 게 김 대표의 말이다.
정부는 지난 2020년 비상경제회의를 통해 코로나19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기간산업 기업들을 지원하는 40조원 규모 '기간산업 안정기금'을 설치하기로 결정했다. 여기에서 철강업이 빠지며 철강업계의 충격과 반발이 거셌고, 이후 지원 대상에 추가되며 일단락됐다.
김 대표는 "처음으로 정부가 상식적으로 기간산업으로 생각하는 산업에서 뺀 것"이라며 "많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안고 많은 원자재를 가져와서 이렇게 수출하는 게 과연 맞느냐, 국가 안보상 (최소한의) 공급만 있으면 된다는 게 금융위원회의 생각"이라며 "결국 지원 대상에 들어갔지만 금융위의 시각은 이미 바뀌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최근 전기요금 인상은 주로 산업용을 올렸다. 산업용 전기는 전기로 회사들이 쓰는 비중이 높다"며 "문제는 철강인들이 위기의식을 그렇게까지 못 느낀다는 것"이라고 했다.
![](https://img.newspim.com/news/2025/01/21/2501211215146090.jpg)
김 대표는 '예외·면제 없는 25% 관세'로 본격화 된 트럼프 대통령의 철강 보호주의는 이미 1기 집권 때부터였다는 점도 짚었다.
그는 "제 책에서도 담았지만 트럼프는 트위터(현 X)에 '철강이 없다면 국가가 없다'고 했다"며 "또한 전 세계 철강사들이 회비를 내서 운영하는 민간기구 WSD(World Steel Dynamics)가 개최하는 철강 회의가 매년 뉴욕에서 열리는데 2017년 행사에 성조기를 설치하고 미국 상무부 장관이 와서 미국 철강 통상 정책을 설명하며 정부 개입을 노골적으로 드러냈다"고 했다.
김 대표는 다만 최근의 환경 변화가 분명 부정적이고, 한국 철강업이 사양 산업이라고 볼 수도 있지만, 사양 산업과 사양 기업은 분리해서 봐야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사양 산업이라는 건 쉽게 말해 절대적인 규모나 부가가치 창출이나 그 나라 경제에서 차지하는 상대적인 기여도가 자꾸 줄어드는 건데, 그런 측면에서 보면 사양 산업은 맞다고도 할 수 있다"면서도 "사양 산업과 사양 기업은 다르다. AI 소프트웨어 산업으로 가고 있지만 철 없는 세상은 존재할 수 없다. 따라서 기업이 잘하면 그 기업이 죽는 것은 아니다"라고 힘줘 말했다.
![](https://img.newspim.com/news/2025/02/11/2502111504253651_w.jpg)
그러면서 "새로운 패러다임, 새로운 산업에 기회가 들어 있다. 그러니 원가가 비싸다, 우리에게 안 맞다고 해서 놔둘 문제가 아니다"라며 고부가가치 산업으로의 전환을 강조했다.
김 대표는 "철강 산업은 사양 산업이지만, 필수 산업이기에 기업의 혁신을 통한 생존 전략이 중요하다"며 "포스코와 현대제철은 고부가가치 제품 생산으로 전환하는 전략을 강조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어 "자동차 강판 및 특수강과 같은 고부가가치 제품 시장은 성장 가능성이 높으며, 포스코와 현대제철의 경쟁력 확보에 중요한 요소"라며 "일본 철강시장의 공존 모델을 참고해 국내 철강 기업들의 경쟁보다는 상생을 통한 지속 가능한 전략을 모색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탄소중립이라는 시대적 흐름에 맞춰 철강산업의 탄소 배출권 유상할당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이를 위한 구체적 실행 계획이 부재함을 지적하며 유상할당 기금 활용 개선 방안으로 유상할당에 대한 메리트를 줄 것을 제안했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