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코스피 상장사 디케이엠이(DKME, 구 KIB플러그에너지)가 전 대표의 횡령 범죄 및 해외 도피 사태 장기화로 상장폐지 위기에 놓였다. 한국거래소가 부여한 상장폐지 개선 기간 내 전 대표 횡령 사태가 해소되지 않을 경우 약 2만 명에 달하는 대규모 소액 주주 피해가 불가피할 것으로 우려된다.
3일 업계에 따르면 서울경찰청 금융범죄수사대는 김선기 전 디케이엠이 대표를 상대로 한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등에관한법률위반(횡령) 혐의에 대한 고소 사건을 수사 중인 것으로 확인됐다.
김 전 대표는 디케이엠이의 최대주주인 디케이엠이아이엔씨(DKME INC)를 실소유하고 있는 A사로부터고소를 당한 것으로 파악됐다.
김 전 대표는 디케이엠이 주식 5286만 2216주(전체 지분의 약 23%)를 횡령한 혐의를 받고 있다.
서울경제신문이 입수한 고소장에 따르면 김 전 대표는 지난 해 8월 정보기술 및 컴퓨터 운영 관련 서비스업체 A사에 ‘디케이엠이 주식이 회사 가치보다 저평가 됐으니 저가 매수를 통해 경영권을 확보해 미국 나스닥 시장에 상장하자'고 제안했다. 이에 A사는 김 전대표가 디케이엠이 주식 취득을 위해 미국델라웨어주에 설립한 ‘퀀텀웰스매니지먼트’에 미화 약 2100만 달러(한화 약 308억 원)를 송금했다. 김 전 대표는 해당 자금을 ‘더코어텍그룹’, ‘퀀텀웰스매니지먼트’ 등 명의로 올해 1월까지 디케이엠이 주식 5286만 2216주를 확보해 최대주주가 됐다.
더코어텍그룹은 김 전 대표가 대표로 있고, 퀀텀웰스메니지먼트의 대표는 ‘샘파이’라는 인물로 김 전 대표 측근으로알려졌다. 다만 자금을 집행한 A사가 퀀텀웰스메니지먼트의 실질적인 최대주주였다.
하지만 같은 해 5월 한국거래소 상장심사팀에서 경영진의 배임·횡령 혐의 등으로 디케이엠이에 대한 상장 폐지 실질심사를 하는 과정에서 김 전 대표의 주가 조작 사건 연루 의혹이 제기되고 김 전 대표가 대표로 있던 미국 기업 더코어텍그룹의 감사보고서가 미제출되면서 대주주 적격성 문제가 불거졌다. 김 전 대표는 금융위원회 산하 증권선물위원회에 의해 지난 3월 자이글 신사업추진 유상증자 등 허위 공시 혐의로 검찰에 고발된 상태다. 코스닥 상장사인 자이글은 주가 부양 목적으로 이차전지 신사업 추진과 자금 조달 계획을 허위·과장해 발표한 혐의를 받는다.
A사가 최대주주 적격성 문제에 대해 강력 항의하자 김 전 대표는 7월 ‘자산양도·펀드해산 등 기본합의서’를 보내며 퀀텀메니지먼트가 보유한 디케이엠이 주식 5286만 2216주 반환을 조건으로 금품을 요구했다. A사가 이를 거부하자김 전 대표는 주식 반환을 거부하고 미국 등으로 도피해 잠적했다.
횡령 수사와 별개로 김 전 대표가 디케이엠이 이사회를 배후에서 조종해 경영권 장악을 시도하려는 움직임도 포착된다. 실제 디케이엠이의 모회사인 디케이엠이아이엔씨 지분을 100% 보유한 A사는 지난 달 김 전 대표의 측근으로 알려진 샘파이를 디케이엠이아이엔씨 대표 이사직에서 해임하고 신임 대표이사를 선임했다. 이후 디케이엠이 이사회는 디케이엠이 백승륜 대표의 배임 의혹을 제기하며 대표이사 해임 건을 포함한 긴급 이사회를 소집 청구해 오는 6일 개최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A사 측은 “김 전 대표가 디케이엠이 대표로 재직 당시 사외이사에 자신의 측근들을 앉혔다”며 “이사회를 장악해 디케이엠이의 공개 매각 절차를 지연해 상장폐지를 밟게 하려는 의도”라고 반발했다.
김 전 대표의 횡령과 경영권 논란으로 현재 거래정지 상태인 디케이엠는 벼랑 끝에 몰린 상태다. A사는 올해 7월 한국거래소에 공개 매각을 통해 디케이엠이 최대 주주 지분 약 23%를 공개 매각한다는 내용의 경영개선계획서를 제출한 상태다. 거래소가 부여한 개선기간 만료일인 내년 3월까지 김 전 대표가 주식을 반환하지 않을 경우 디케이엠이는 상장 폐지될 가능성이 크다는 게 업계의 중론이다.
디케이엠이가 상장폐지될 경우 약 2만여 명에 달하는 소액주주의 대규모 피해도 불가피할 전망이다.
김현태 디케이엠이 소액주주 연대 대표는 “소액주주들 가운데 전 재산을 넣은 분도 있는 만큼 최근에는 분신자살을 시도했던 사람도 나왔다"며 “이번 긴급 이사회에서 이사들이 2만여 소액주주들의 권익을 해치는 대표이사 해임 건에 동참하지 않아야 한다”고 강력 촉구했다.

![기업가치 700조원 '대마불사' 오픈AI, 위험성도 커졌다 [팩플]](https://pds.joongang.co.kr/news/component/htmlphoto_mmdata/202511/03/fd3921ad-98b5-451c-b2cb-c3f35be4504e.jpg)
![[ET 시선] KT CEO 잔혹사](https://img.etnews.com/news/article/2025/10/31/news-p.v1.20251031.026e7b73d77141ea86003ef2acbc11cb_P1.jpg)
![넥스트레이드, 거래량 규제에 또 ‘브레이크’…카카오·에코프로 거래중지[마켓시그널]](https://newsimg.sedaily.com/2025/11/03/2H0B83VADI_4.jpg)
![금감원, EB 발행 기준 강화에도 자사주 활용 치열한 ‘눈치 싸움’ [AI 프리즘*금융상품 투자자 뉴스]](https://newsimg.sedaily.com/2025/11/04/2H0BMIWIQ3_1.jpg)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