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newsimg.sedaily.com/2025/02/12/2GOXVCC52K_1.jpg)
우리나라 100대 기업 중 절반이 넘는 기업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에 공급망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공시하지 않은 것으로 조사됐다.
![](https://newsimg.sedaily.com/2025/02/12/2GOXVCC52K_2.jpg)
동반성장위원회는 12일 국내 매출액 상위 100대 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공급망 ESG 관리 공시 수준'을 조사한 결과 지속가능 경영 보고서에 공급망 ESG 관리 정책을 수립하고 이를 공시한 기업은 54%에 그쳤다고 12일 밝혔다.
이는 우리나라 100대 기업의 ESG 공급망 관리 위혐평가 및 관리체계가 취약하다는 졈을 잘 보여준다. 다만 ESG 행동규범 제정 등 기초적인 ESG 관리 활동은 비교적 잘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공시율이 높은 항목으로는 행동규범 제정(84%), 파트너사 체크리스트 개발(82%), 파트너사와 소통·지원(68%) 등 기본적인 ESG 관리활동이었다.
반면 기업들은'ESG 리스크 관리'(20%), '위험군 파트너사 식별'(30%), '파트너사 ESG 관리 성과 종합분석'(25%) 등 실질적인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체계가 미흡한 것으로 조사됐다.
특히 파트너사의 ESG 리스크 식별시스템(11%), 고위험군 파트너사 시정조치계획(CAP) 관리시스템(17%) 등 공시율이 상대적으로 낮아 공급망 리스크 평가 및 관리 체계를 강화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또 거래관계를 맺고 있는 파트너사의 ESG 리스크 식별시스템(11%), 식별 프로세스 가이드 제정(35%), 위험군 파트너사 식별절차 보유(30%), 고위험군 파트너사 시정조치계획(CAP) 관리시스템(17%) 등 공급망 위험관리에 대한 보완이 필요한 상황이다.
또 중장기 로드맵 수립 공시율도 20%에 불과해 공급망 관리를 위한 구체적인 계획과 실행 가능성에 대한 공시도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안상희 대신경제연구소 센터장은 "100대 기업의 공시 수준은 우리나라 ESG 경영 수준을 가늠할 수 있는 중요한 지표"라며 "기업들은 공시 비율이 비교적 낮은 공급망 리스크 관리에 더 노력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박치형 동반위 운영처장은 "ESG 경영이 기업에 지나치게 부담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 "동반위는 국내외 ESG 법·제도에 맞춰 공급망 관리에 도움이 되는 정책이나 가이드를 지속적으로 제공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