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의 종목 이야기] 알리바바, AI 글래스 출시로 소비자 하드웨어 시장 진출

2025-11-27

이 기사는 인공지능(AI) 번역으로 생산된 콘텐츠로, 원문은 11월 27일자 블룸버그 기사(Alibaba Releases AI Glasses in Rare Consumer Gadget Foray)입니다.

[서울=뉴스핌] 김현영 기자 = 중국 대표 전자상거래 업체이자 빅테크 중 하나인 알리바바 그룹 홀딩스(종목코드: BABA, 9988.HK)가 자사의 큐원(Qwen, 중국명 첸원 千問) AI 모델을 탑재한 첫 스마트 글래스를 출시하며 드물게 소비자용 하드웨어 시장에 진출했다.

새롭게 선보인 콰크 S1(Quark S1, 중국명 콰커 夸克) 글래스는 반투명 디스플레이를 내장해 사용자의 시야 위에 주변 환경과 관련된 정보를 겹쳐 보여준다. 카메라와 골전도 마이크, 최대 24시간 사용 가능한 교체형 배터리를 갖춘 이 제품은 메타 플랫폼스(META)의 레이밴 스마트 글래스와 유사한 기능을 중국 시장에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이번 출시는 알리바바가 AI 중심 기업으로 재편하려는 야심찬 전략의 연장선에 있다. 회사는 지난주 큐원 앱을 공개하며 다양한 소비자용 AI 서비스를 하나의 업그레이드된 프로그램으로 통합했고, 출시 직후 1천만 명 이상의 사용자를 빠르게 확보했다.

에디 우 최고경영자(CEO)는 이번 신제품이 "탁월한 사용자 유지율을 기록하고 있다"고 밝혔다. 알리바바는 큐원 제품군을 콰크 데스크톱 브라우저에 통합한 데 이어 웨어러블 라인업으로 영역을 확장하고 있다.

콰크 S1 모델은 3799위안(약 537달러)부터 판매되며, 마이크로 OLED 디스플레이를 제외한 1899위안 가격대의 콰크 G1 모델도 함께 출시된다. 두 제품 모두 퀄컴(QCOM)의 증강현실 전용 칩셋인 스냅드래곤 AR1 플랫폼을 기반으로 하며, AI 작업을 위한 신경처리 장치를 포함하고 있다.

콰크 S1은 현재 알리바바의 티몰, JD닷컴, 바이트댄스의 더우인, 그리고 중국 82개 도시의 600여 개 매장에서 즉시 구매할 수 있다. 국제 버전은 내년에 출시될 예정이며, 일부는 알리익스프레스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제공될 것이라고 알리바바 콰크 부문 관계자가 전했다.

지난 1년간 중국에서는 음성 전사 등 인공지능 기능을 내세운 스마트 글래스가 빠르게 확산됐다. 지금까지는 주로 이븐 리얼리티(Even Realities)와 같은 스타트업들이 기존 안경을 재창조하기보다는 보완하는 형태로 제품을 내놓았다.

시장조사업체 IDC에 따르면 지난 9월까지 중국 내 스마트 글래스 출하량은 160만 대에 달했으며, 샤오미가 약 3분의 1을 차지했다. 디스플레이가 내장된 제품까지 포함하면 출하량은 200만 대를 넘어선다.

IDC 연구 책임자 소피 판은 "알리바바의 진출은 중국 스마트 안경 시장의 경쟁 구도에 새로운 변화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메타가 799달러에 내놓은 레이밴 디스플레이 모델은 통합 화면과 제스처 제어용 손목 밴드를 갖춘 보다 야심적인 접근을 보여줬다. 메타의 최신 모델은 일반 제품보다 크고 무겁고 가격도 높지만, 향후 발전 가능성을 제시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알리바바는 신제품 콰크 하드웨어에 자사 생태계의 강점을 대거 결합했다. 타오바오 마켓플레이스, 여행 예약 플랫폼 플리기, 알리페이를 통한 결제 기능이 포함됐으며, 항저우의 넷이즈와 선전의 텐센트와 협력해 각각 넷이즈 클라우드 뮤직과 QQ 뮤직 서비스를 제공한다.

kimhyun01@newspim.com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