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최대 내륙습지 우포늪,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 ‘논란’

2024-12-11

경남 창녕 우포늪 습지보호지역의 소나무 재선충병 방제사업을 놓고 지자체와 환경단체가 팽팽히 맞서고 있다. 지자체는 재선충 확산 상황이 심각해 습지보호지역이라도 방제사업이 불가피하다는 입장인 반면, 환경단체는 “방제사업이 오히려 환경오염을 유발시킨다”며 백지화를 촉구하고 있다.

11일 경남도에 따르면 창녕군은 우포늪의 재선충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지난 9월 15일 낙동강유역환경청에 습지보호지역 벌채를 신청했다. 환경청은 지난달 25일 벌채 사업을 승인했다.

이번 벌채는 우포늪 습지보호지역 내에서는 처음 시행되는 것이다. 해당 사업은 2025년부터 2029년까지 우포늪 습지보호지역(854㏊)에서 소나무 5000여 그루를 잘라 파쇄하는 것이다. 벌채 처리 비용은 한 그루 10만 원, 나무 처리 비용만 5억 원가량이 든다.

앞서 창녕군은 우포늪 외 지역에서 2019년부터 2024년까지 5년간 재선충병에 걸린 소나무 4800그루를 벌채·방재했다.

환경단체들은 무차별적인 벌채 대신 국내 식생에 맞춘 새로운 방제정책을 수립해야한다고 반발하고 있다.

경남환경운동연합에 따르면 일본이 1997년 소나무재선충 특별조치법을 폐지하면서 방제사업을 중단한 반면. 한국은 2005년부터 소나무재선충병 방제특별법을 제정해 매년 재선충 고사목을 벌채하고 있다.

산립청의 방제사업 규모는 매년 늘어 2023년에는 933억원을 들여 185만그루의 병든 소나무를 벌채했다.

경남환경운동연합은 “창녕군의 방제정책은 우포늪의 병든 소나무를 베어내고 산림생태계에 농약을 살포하는 무자비한 방식”이라며 “벌채 대신 식물 군락이나 종들이 시간에 따라 변해가도록 그냥 두는 게 낫다”고 맞서고 있다.

환경단체들은 숲 하층의 나무를 모두 간벌하는 방식의 숲 가꾸기 사업도 비판하고 있다. 곽상수 창녕환경운동연합 공동의장은 “수종 갱신을 목적으로 소나무 고사목은 물론 참나무류가 주종인 어린나무까지 벌채하면 숲 생물 다양성은 사라지고 말 것”이라고 말했다.

지자체들은 벌채 방제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이다.

경남도 관계자는 “일본은 소나무 산림면적이 전체의 3%에 불과해 선택적 방재가 가능하지만, 국내는 25%, 경남의 경우 40%를 차지해 전면 방제가 필요하다”며 “낙동강유역환경청이 승인한 사업이기 때문에 환경 피해를 검토한 사업”이라고 말했다.

창녕군은 대신 생태계에 영향을 최소화하기위해 화학 제품을 쓰지 않고 죽은 나무만 파쇄한다는 계획이다.

박남규 창녕군 산림녹지과장은 “사업 구역 중 탐방로 등 벌채된 나무를 수집할 수 있는 곳을 대상으로 사업을 진행할 예정”이라면서 “벌채 규모도 기존의 계획 보다 줄여 사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 최대 내륙습지인 창녕 우포늪은 3포(우포·목포·사지포)와 ‘2벌’(쪽지벌과 산밖벌)로 나뉜다. 우포늪은 1998년 3월 람사르습지로 등록됐고, 1999년 8월엔 국가습지보호지역으로 지정됐다. 우포늪엔 1200종의 생물이 살고, 멸종위기 야생생물의 보금자리다. 우포늪에서는 2급 멸종위기 야생생물인 따오기 복원사업도 진행하고 있다.

Menu

Kollo 를 통해 내 지역 속보, 범죄 뉴스, 비즈니스 뉴스, 스포츠 업데이트 및 한국 헤드라인을 휴대폰으로 직접 확인할 수 있습니다.